환경영향평가원

요약
하는일환경영향평가대상 사업의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당해 사업의 시행으로 인하여 자연환경, 생활환경, 사회·경제환경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미리 예측·분석하여 환경영향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한다.
되는길환경영향평가업무는 환경영향평가업으로 등록된 회사에서만 가능하고 환경영향평가업으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환경, 도시교통, 임업, 토목 등 분야의 기술사, 기사, 산업기사나 관련 분야의 석사, 박사, 그리고 경험과 경력 등이 요구된다. 따라서 환경영향평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환경학, 환경공학, 도시계획학, 농학, 동물학, 미생물학, 생물학, 생태학, 식물학, 산림학, 조경학, 해양학 등을 전공해야 한다. 채용시 4년제 대학졸업 이상자를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공도시·지역학과
생명과학과
조경학과
지구과학과
지리학과
환경공학과
자격환경측정분석사(국가전문)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004만원, 평균(50%) 3418.8만원, 상위(25%) 4020만원
만족도73.9
일자리전망증가(60%) 현상유지(40%) 감소(0%)
업무수행능력추리력(88)/범주화(83)/기술 분석(79)/기억력(76)/판단과 의사결정(73)
지식생물(99)/지리(98)/법(98)/화학(97)/물리(91)
업무환경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91)/앉아서 근무(87)/공문, 문서 주고받기(85)/이메일 이용하기(83)/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81)
성격사회성(89)/분석적 사고(87)/협조(77)/꼼꼼함(77)/혁신(75)
흥미관습형(Conventional)(93)/탐구형(Investigative)(91)
직업가치관지적 추구(97)/애국(97)/성취(95)/타인에 대한 영향(95)/인정(91)
업무활동 중요도협상, 갈등 해결(96)/정보의 의미 해석(93)/팀 구성, 협업 촉진(91)/정보 작성, 기록(91)/자원 관리(91)
업무활동 수준정보 작성, 기록(89)/인사 업무(88)/정보 처리(84)/자원 관리(84)/정보, 자료 분석(82)
관련직업태양광발전연구 및 개발자
풍력발전연구 및 개발자
원자력공학기술자
에너지시험원
대기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수질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폐기물처리기술자
소음진동기술자 및 연구원
토양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환경시험원
보건위생·환경검사원
직무개요
  • 환경영향평가대상 사업의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당해 사업의 시행으로 인하여 자연환경, 생활환경, 사회·경제환경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미리 예측·분석하여 환경영향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한다.
수행직무
  • 자연환경, 생활환경, 사회·경제환경에서 사업의 특성, 입지 여건 등을 고려하여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점 평가요인을 설정한다.
  • 체크리스트법, 상호작용 메트릭스법, 네트워크법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문헌조사 등을 통하여 환경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정리한다.
  • 환경 기준을 초과하거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항목에 대하여 저감시설의 설치 등의 저감방안을 제시한다.
  • 환경영향평가서를 작성한다.
임금
행정부고위공무원 임금 정보
하위(25%) 중위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환경영향평가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3.9%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 향후 5년간 환경영향평가원의 고용은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환경영향평가원의 일자리는 개발사업의 수와 관련이 깊다. 어느 국가기관, 공공기관, 기업에서 개발사업을 할 경우 환경영향평가를 반드시 받아야하기 때문에 개발 사업이 늘어나면 환경영향평가원의 일거리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그간 추이를 보면 2007~2009년을 최고점으로 환경영향평가 건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즉 2010년 이후 우리나라 개발 수요도 어느 정도 안정화단계에 들어섰다고 볼 수 있다. 등록된 환경영향평가업체 수의 추이에서도 2017년 기준 344개로 그간 큰 변화가 없어 포화 상태로 보인다. 그러나 환경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면서 정책 환경영향평가 및 서울시 등 지자체 조례에 근거한 환경영향 평가 등 그 대상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어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이다. 한편 환경부에서는 환경영향평가 업무의 질적 제고를 위해 2020년부터 제1종 환경영향평가업체는 「환경영향평가사」1명 이상를 의무적으로 고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등 환경영향평가 사업에 대한 중요성은 커질 것이다.
※ 자료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