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공학기술자

요약
하는일섬유의 소재 및 의류 등 섬유제품을 개발하고 기능 개선을 위한 연구시험분석을 수행하고, 섬유 가공기술의 개발 및 제품화를 위한 공정을 설계한다.
되는길섬유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섬유공학 및 소재공학분야 전문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고, 관련 분야의 실무경험이 있으면 취업에 더 유리하다.
특히 연구·설계분야 종사자는 관련 분야의 석사 또는 박사 이상의 학위가 필요하다.
섬유공학기술자를 육성하는 학과는 섬유공학과, 섬유시스템공학과, 신소재공학부 등으로 섬유고분자화학, 섬유고분자물리, 방적학, 제포공학, 염료화학 등 섬유에 관한 제반이론과 생산기술을 응용한 섬유기능성가공, 어패럴공학 등 섬유공정 분야에 필요한 지식 등을 교육한다.
전공섬유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의류·의상학과
재료·금속공학과
패션디자인학과
자격방사기술사(국가기술)
섬유공정기술사(국가기술)
의류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섬유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600만원, 평균(50%) 4220만원, 상위(25%) 5076만원
만족도71
일자리전망증가(0%) 현상유지(57%) 감소(43%)
업무수행능력기술 분석(96)/품질관리분석(94)/기술 설계(93)/기억력(88)/추리력(84)
지식화학(100)/공학과 기술(99)/물리(97)/상품 제조 및 공정(96)/영어(85)
업무환경위험한 상태 노출(95)/자동화 정도(94)/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88)/이메일 이용하기(85)/치열한 경쟁(84)
성격독립성(95)/혁신(94)/사회성(89)/리더십(88)/분석적 사고(87)
흥미탐구형(Investigative)(83)/관습형(Conventional)(60)
직업가치관지적 추구(67)/경제적 보상(65)/신체활동(53)/성취(51)/개인지향(42)
업무활동 중요도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6)/정보 작성, 기록(91)/정보 처리(89)/사물, 행동, 사건 파악(86)/팀 구성, 협업 촉진(86)
업무활동 수준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7)/정보 작성, 기록(94)/정보 처리(90)/창조적 생각(88)/정보, 자료 분석(81)
관련직업섬유공학시험원
직무개요
  • 섬유의 소재 및 의류 등 섬유제품을 개발하고 기능 개선을 위한 연구시험분석을 수행하고, 섬유 가공기술의 개발 및 제품화를 위한 공정을 설계한다.

수행직무
  • 섬유의 종류와 성질에 맞는 각종 섬유제품을 개발하고 분석한다.
  • 인장강도, 탄성력, 흡수력, 마찰 등 섬유의 품질관리를 위해 시험하고 연구한다.
  • 섬유의 구조, 인장력, 열 및 화학물질에 대한 안정성을 시험,검사한다
  • 새로운 염료 및 염색기법, 염색기술 등을 연구하고 개발한다.
  • 섬유의 형태안정성을 높이는 가공공정, 특수섬유의 제조공정 등을 연구한다.
  • 섬유제조장치를 설계하고 섬유제품 제조방법, 섬유혼합 실험 등 섬유공정기술을 개발하고 개선한다
  • 동물섬유와 식물섬유 및 합성섬유를 분석하고, 제조된 섬유제품을 분석한다.
  • 과학적 원리를 적용하여 섬유의 성장, 품질개발 등을 연구한다.
  • 합성섬유의 원료가 되는 새로운 섬유고분자를 합성하거나 가공한다.
  • 관련 제품의 인증과 신소재, 가공기술 등에 교육하고 컨설팅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3600만원

4220만원

5076 만원

직업만족도
  • 섬유공학기술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1%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섬유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섬유산업은 과거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을 주도해왔다.
  • 그러나 지속적인 인건비 상승, 생산비 증대, 생산설비 과잉 등으로 인해 섬유산업 전반은 쇠락을 길을 걷고 있으며 국제경쟁력이 약화됨에 따라 수출도 감소세에 있다.
  • 이러한 섬유산업의 불황과 함께 대기업을 중심으로 인건비가 저렴한 해외로의 공장이전이 이뤄지고 있어 섬유 산업 전반의 고용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하지만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필수적인 의복보다는 패션으로서의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 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광섬유,기능성섬유 등 특수섬유에 대한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환경기준 강화로 인해 새로운 설비의 도입으로 전문가의 역할이 중요하게 되었다.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제품혁신주기가 단축되며 연구나 기술개발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섬유시장에서는 최근 탄소섬유, 아웃도어용 기능성 섬유,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등 산업용 섬유와 패션섬유로 나아가고 있으며, IT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섬유개발이 요구되고 있어 이 분야에 대한 전문가의 수요는 유지될 전망이다.
  • 그러나 기술자 등 전문가의 시장은 크지 않으며 대구와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섬유업계의 폐업이 증가하고 있어 섬유공학기술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0%
    유지 57%
    다소 감소 40%
    감소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