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요약
하는일발주자가 의뢰한 건축시설물에 대해 소방 설계의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고 시공업자가 수행하는 소방설비의 설치여부에 대해 공정 및 품질관리를 한다.
되는길소방공학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소방공학과, 소방방재학과 소방안전관리과, 기계공학과, 전기공학과 등을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소방공학분야는 설계, 시공, 안전관리, 감리 등 역할이 세분화되어 있고 소방, 전기, 기계 등 전문 분야도 다양하여 진출가능한 전공분야도 다양하다.
주로 진출가능한 전공분야로는 관련자격으로는 국가자격으로 방화관리(1,2급), 소방설비기계기사, 소방설비전기기사,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기계), 위험물관리기능사, 가스안전기사, 산업안전(기사·산업기사), 소방기술사, 소방설비산업기사(기사), 위험물기능사(산업기사?기능장) 등이 있다.
통상 취업시 관련 자격을 요구하므로 취득하는 것이 유리하다.
취업시 기업체 마다 상이하나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고 기술개발 등 연구 및 개발의 경우 석사이상의 학력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들은 주로 소방설계, 시공, 관리 업체에서 근무하며 소방관련 공공기관 및 기술개발 연구소, 그리고 공무원으로도 활동한다.
전공경호학과
기계공학과
메카트로닉스(기전)공학과
소방방재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자격소방기술사(국가기술)
소방설비[전기기계]산업기사기사(국가기술)
소방설비산업기사, 기사[기계, 전기](국가기술)
위험물기능사, 산업기사, 기능장(국가기술)
위험물기능사[1,2,3,4,5,6류], 산업기사, 기능장(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108만원, 평균(50%) 3714.8만원, 상위(25%) 4326만원
만족도66.5
일자리전망증가(23%) 현상유지(30%) 감소(46%)
업무수행능력기술 설계(90)/고장의 발견.수리(88)/기억력(82)/장비의 유지(81)/읽고 이해하기(74)
지식건축 및 설계(100)/법(97)/안전과 보안(97)/화학(90)/기계(88)
업무환경걷거나 뛰기(92)/실외 근무(88)/사람들과 직접 접촉(87)/이메일 이용하기(83)/고지대 작업(82)
성격정직성(64)/협조(60)/사회성(59)/적응성/융통성(57)/타인에 대한 배려(52)
흥미관습형(Conventional)(87)/탐구형(Investigative)(62)
직업가치관신체활동(86)/애국(67)/이타(59)/개인지향(56)/지적 추구(51)
업무활동 중요도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7)/기계장비 유지 보수(93)/전자장비 유지 보수(91)/기계장치 제어(91)/팀 구성, 협업 촉진(86)
업무활동 수준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7)/기계장비 유지 보수(93)/전자장비 유지 보수(89)/기계장치 제어(88)/차량, 기계, 장비 작동(85)
관련직업산업안전원 및 위험관리원
위험관리원
비파괴검사원
직무개요
  • 발주자가 의뢰한 건축시설물에 대해 소방 설계의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고 시공업자가 수행하는 소방설비의 설치여부에 대해 공정 및 품질관리를 한다.

수행직무
  • 소방시설의 설치계획표, 설계도서, 설계변경 사항의 적합성을 검토한다.
  • 소방용 기계, 기구 등의 위치, 규격 및 자재에 대한 적합성을 검토한다.
  • 공사업자의 소방시설 시공 내용이 설계도서 및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한지 확인·감독하고 기타 공정 및 품질관리를 한다.
  • 소방감리 과정 중 문제점이 발생하면 발주자에게 보고하고, 공사업자에게 수정을 지시한다.
  • 완공된 소방시설의 성능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종합 정밀검사에 입회하여 실험 결과를 검토한다.
  • 소방공사 감리결과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주자 등 관계자에게 보고한다.
  • 소방공사 진행 과정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하고, 이를 관련 소방서에 보고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소방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6.5%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소방공학기술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소방산업통계조사(2015.12월 기준)에 따르면 국내 소방업체 수는 8,136개이며 이중 50인 이하 업체가 7156개로 88%에 달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영세하다.
  • 전체 업체 중 소방공사업체가 4,761개로 58%를 차지하고 있고 종사자 비중도 65.2%를 차지하고 있어 소방산업의 주류이다.
  • 지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 동안 소방업체 수는 꾸준히 증가하였다.
  • 종사자 수는 약간 증가하였으며 전년동월대비(2014.12월) 1.6% 증가 하는 등 변화가 거의 없었다.
  • 직능별 종사를 보면 전체종사자 중 기술직과 연구개발직은 53,909명(36.2%)과 2,628명(1.8%)이었다.
  • 기술직 중 소방공사업이 31,900명으로 59.1%를 차지하였다.
  • 지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기술직과 연구개발직의 종사자 비율은 40%내외로 보인다(39.5%(‘13)→44.3%(’14)→38.0%(‘15)) 소방시설 업종인 설계, 시공, 감리 분야의 일자리는 건설경기, 정부정책 등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 반면 소방관리 분야는 소방시설업종보다 영향이 크지 않다.
  • 국민의 안전에 대한 정부의 정책이 강화되고 기업의 안전에 대한 투자, 그리고 국민들의 안전의식 확대 등으로 일자리 증가에 긍정적이다.
  • 그러나 향후 건설경기가 좋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국내 건설경기의 하락전망은 여러 가지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 정부는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하여 신규 분양물량을 조절할 것으로 보인다.
  • 장기적으로 가구 수 증가율의 감소로 인해 건설시장 축소가 불가피해 보인다.
  • 향후 가구 수 증가율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어 전체적으로 민간주택시장은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 또한 100%넘는 주택보급율과 저출산·고령화로 신규주택의 수요는 억제될 것이다.
  • 이러한 부정적 환경과 더불어 소방연구개발직은 취업처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기타 국책연구원 및 기업부설연구원으로 한정되어 있어 일자리가 크게 증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23%
    유지 30%
    다소 감소 43%
    감소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