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의사

요약
하는일의료 부분의 일반적인 질환, 장애, 상해 및 질병을 진료·예방한다.
되는길의사가 되려면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의사국가면허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또한 의과대학이 아닌 다른 일반학과를 졸업한 후 총 4년 과정의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의무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의사국가면허시험을 통과해도 의사가 될 수 있다.
2017년 기준으로 의학을 공부할 수 있는 곳은 10개의 국립대학(서울대학교 등)과 31개의 사립대학(고려대학교 등)이 있다.
의과대학에서는 6년(의예과 2년 및 의학과 4년) 동안 해부학, 조직학, 병리학, 예방의학, 의공학, 약리학, 감염학, 임상실습 등을 배운다.
2017년 1월에 시행된 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의사면허시험에 3,336명이 응시하여 3,095명(92.8%)가 합격하였다.
특정분야를 전문으로 하지 않고 진료하는 의사를 ‘일반의사’라 한다.
의사면허를 취득한 후에 인턴과정 1년과 레지던트과정 4년(예방의학과, 결핵과, 가정의학과 3년)의 과정을 거쳐 각 분야의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한 사람을 ‘전문의사‘라고 한다.
전문의사는 총 26과의 전문분야(산부인과, 안과, 이비인후과, 피부과, 비뇨기과, 신경과 등)로 구분되어 있으며, 전문의 시험에 응시하는 사람의 비율은 높아지고 있다.
전공의학과
자격의사(국가전문)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7635만원, 평균(50%) 8500만원, 상위(25%) 10000만원
만족도74.9
일자리전망증가(60%) 현상유지(27%) 감소(13%)
업무수행능력시력(92)/정교한 동작(87)/듣고 이해하기(86)/청력(85)/말하기(85)
지식의료(100)/생물(99)/상담(93)/심리(92)/화학(86)
업무환경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100)/의사결정 가능성(98)/의사결정 권한(97)/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영향력(97)/실수의 심각성(97)
성격인내(76)/꼼꼼함(74)/스트레스 감내성(72)/책임과 진취성(70)/정직성(70)
흥미사회형(Social)(95)/탐구형(Investigative)(90)
직업가치관고용안정(97)/경제적 보상(94)/인정(94)/이타(92)/애국(92)
업무활동 중요도사람들을 배려, 돌봄(97)/업무 계획, 우선순위 결정(92)/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91)/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77)/목표, 전략 수립(77)
업무활동 수준사람들을 배려, 돌봄(99)/업무 계획, 우선순위 결정(96)/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96)/목표, 전략 수립(85)/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77)
관련직업내과의사
외과의사
성형외과의사
산부인과의사
이비인후과의사
안과의사
정신과의사
소아청소년과의사
방사선과의사
마취병리과의사
비뇨기과의사
피부과의사
가정의학과의사
한의사
치과의사
직무개요
  • 의료 부분의 일반적인 질환, 장애, 상해 및 질병을 진료·예방한다.

수행직무
  • 청진기, 맥박기록기 등 간단한 의료기구를 사용하여 환자를 진찰한다.
  • 환자의 증상에 따른 다양한 검사와 진단을 통해 치료방법 및 치료순서를 결정한다.
  • 환자의 진단을 위하여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등의 의료기사에게 X
  • ray 촬영, 임상검사 등을 지시한다.
  • 검사결과를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치료법을 설명하거나 약물을 처방한다.
  • 전염병예방접종을 실시한다.
  • 환자에게 식사, 위생, 질병예방 등에 관하여 조언한다.
  • 병원이나 진료소에 직접 나올수 없는 환자를 위하여 왕진을 한다.
  • 특정기관이나 복지시설, 학교 등에 고용되기도 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7635만원

8500만원

10000 만원

직업만족도
  • 일반의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4.9%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일반의사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 일반의사는 전문의 면허 없이 활동하며 최근 전문의의 수요가 많은 상황에서 일반의를 희망하는 사람들은 줄고 있어 고용의 감소도 예상된다.
  • 또한 의과대학에서 배출되는 인력이 과거해 비해 늘어나 공급과다 현상을 보이고 있고, 치열한 의료시장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전문의 면허 취득이 필수조건이 되고 있다.
  • 때문에 기존 경력이 많은 일반의사를 중심으로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 다만, 전문의의 면허를 받기 위해 인턴이나 레지던트로 수련하며 진료를 보는 의사도 일반의사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일부 증가세가 보일 수 있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3%
    다소 증가 57%
    유지 27%
    다소 감소 10%
    감소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