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강사
요약
하는일 | 건강유지 및 기분전환, 육체기능 강화, 힘의 증진 등을 위하여 개인 또는 단체를 대상으로 각종 운동 종목의 운동방법을 전문적으로 지도한다. |
---|---|
되는길 | 스포츠강사가 되기 위해서는 해당 종목의 실기와 이론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에서 해당 종목의 관련 학과나 사회체육학과, 생활체육학과 등 체육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며 해당종목의 운동선수나 코치로서의 경험이 있는 사람도 입직에 유리하다. 관련자격으로는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자격인 생활스포츠지도사, 유소년스포츠지도사, 노인스포츠지도사, 장애인스포츠지도사 등이 있다. |
전공 | 경호학과 무용학과 예체능교육과 체육학과 |
자격 | 노인스포츠지도사(국가전문) 생활스포츠지도사 1, 2급(국가전문) 생활체육지도사 1, 2, 3급(국가전문) 유소년 스포츠지도사(국가전문) 장애인스포츠지도사 1, 2급(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800만원, 평균(50%) 3104만원, 상위(25%) 3600만원 |
만족도 | 66.4 |
일자리전망 | 증가(50%) 현상유지(47%) 감소(3%) |
업무수행능력 | 가르치기(97)/학습전략(96)/유연성 및 균형(94)/서비스 지향(85)/사람 파악(84) |
지식 | 교육 및 훈련(99)/상담(76)/고객서비스(70)/의료(43)/예술(40) |
업무환경 | 균형을 유지하기(99)/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99)/걷거나 뛰기(99)/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7)/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강도(95) |
성격 | 혁신(56)/리더십(53)/타인에 대한 배려(46)/독립성(41)/협조(32) |
흥미 | 예술형(Artistic)(79)/사회형(Social)(63) |
직업가치관 | 타인에 대한 영향(88)/성취(79)/자율(78)/심신의 안녕(77)/이타(74)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람들을 훈련, 교육(98)/일반적인 신체활동(95)/대인관계 유지(94)/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0)/사람들을 배려, 돌봄(87) |
업무활동 수준 | 대인관계 유지(91)/사람들을 훈련, 교육(91)/일반적인 신체활동(83)/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81)/조직 외부인과 소통(77) |
관련직업 | 스포츠감독 및 코치 직업운동선수 프로게이머 경기심판 및 경기기록원 스포츠트레이너 레크리에이션전문가 |
직무개요
- 건강유지 및 기분전환, 육체기능 강화, 힘의 증진 등을 위하여 개인 또는 단체를 대상으로 각종 운동 종목의 운동방법을 전문적으로 지도한다.
수행직무
- 수강생의 능력 및 수준에 따라 등급을 결정한다.
- 각 등급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짜고 지도계획을 세운다.
- 안전수칙을 주지시키고, 기본자세 및 실기를 시범하여 지도한다.
- 근육을 단련시키고 규칙적 운동이나 교정운동을 지시한다.
- 상처의 통증, 근육의 긴장으로 인한 뭉침 등을 풀어주거나 응급조치를 하기도 한다.
- 출석부 및 시간표를 작성하고 관리한다.
- 운동기구, 비품 등을 정리·관리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2800만원 |
3104만원 |
3600 만원 |
직업만족도
- 스포츠강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6.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스포츠강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문화체육관광부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공공체육시설 수가 2009년도 13,968개에서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2015년에는 22,662개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 이처럼 체육시설 수의 증가 추세는 스포츠강사의 고용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 또한 최근에는 청소년, 고령자 등 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통해 스포츠 저변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사업들이 생겨나고 있는 것도 향후 스포츠강사의 고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건강과 여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직접 참여하는 스포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 과거에는 주로 스포츠를 관람하며 즐겼지만 점차 회사나 온라인, 지역의 스포츠 동호회에 가입하거나 골프, 스키, 수영, 헬스 등 각종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시설을 찾는 등 생활체육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 민간사업스포츠시설이외에 지자체에서 생활체육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방과 후 학교 등을 통해 다양한 스포츠강좌가 개설되는 것도 스포츠강사의 고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 하지만 많은 일자리가 시간제근무 등 다소 불안정한편이어서 규모가 큰 스포츠시설이나 공공기관 운영 기관 등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일자리에 취업하는데는 경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