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영화·음반기획자

요약
하는일공연작품을 무대에 올리기 위해 작품 선정, 홍보, 마케팅, 공연결과 평가 등 제반 과정을 기획하고 추진한다.
되는길공연기획자가 되기 위해서는 특별히 학력이나 전공에는 제한이 없으나 대학의 예술경영, 공연기획과, 연극영화 등의 관련학과에서 공연기획에 대한 이론과 기획실습을 익힐 수 있다. 또한 공연기획사, 극장 및 극단의 직원으로 시작하여 실무를 익히기도 하며 방송아카데미와 사설교육기관의 공연기획 프로그램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공연기획을 하기 위해서는 무대, 조명, 음향, 의상 등 공연 전반에 대한 지식을 고루 갖추어야 하며 공연을 무대에 올려 많은 관객을 모으려면 홍보나 마케팅 관련 역량도 필요하다. 공연기획사에 취업하는 것 이외에 프리랜서로 활동하거나 협동조합을 창업하는 등 활동분야도 점차 다양해지는 추세이다.
전공경영학과
만화·애니메이션학과
무용학과
방송·연예과
사진·영상예술학과
실용음악과
연극·영화학과
음악학과
정보미디어학과
자격무대예술교육사(국가전문)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868만원, 평균(50%) 4579.2만원, 상위(25%) 5180만원
만족도65.9
일자리전망증가(36%) 현상유지(36%) 감소(26%)
업무수행능력인적자원 관리(78)/가르치기(72)/읽고 이해하기(71)/말하기(69)/창의력(66)
지식예술(100)/의사소통과 미디어(95)/디자인(90)/국어(85)/영어(78)
업무환경공문, 문서 주고받기(87)/이메일 이용하기(87)/전화 대화하기(83)/재택근무(79)/다른 사람과의 접촉(79)
성격혁신(79)/적응성/융통성(67)/분석적 사고(49)/사회성(47)/리더십(46)
흥미예술형(Artistic)(95)/진취형(Enterprising)(80)
직업가치관다양성(86)/신체활동(72)/지적 추구(54)/심신의 안녕(42)/타인에 대한 영향(40)
업무활동 중요도창조적 생각(83)/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81)/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76)/팀 구성, 협업 촉진(75)/정보 수집(73)
업무활동 수준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89)/창조적 생각(86)/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83)/팀 구성, 협업 촉진(82)/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79)
관련직업광고·홍보·마케팅전문가
조사전문가
상품기획자
행사기획자
직무개요
  • 공연작품을 무대에 올리기 위해 작품 선정, 홍보, 마케팅, 공연결과 평가 등 제반 과정을 기획하고 추진한다.
수행직무
  • 국내·외 공연시장동향, 대중의 기호 및 성향, 사회트렌트 등을 조사하여 뮤지컬, 오페라, 연극, 콘서트 등 공연할 대본이나 음악을 개발한다.
  • 투자자와의 협의 하에 공연일정 및 공연장소를 결정한다.
  • 제작일정 및 진행사항에 대하여 제작진과 협의하고 총괄한다.
  • 외국공연팀(배우 및 제작인력)의 국내 공연을 기획하기도 한다.
임금
행정부고위공무원 임금 정보
하위(25%) 중위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공연·영화·음반기획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5.9%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 향후 5년간 공연기획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가생활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콘서트나 뮤지컬, 연극 등 공연 문화생활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뮤지컬, 콘서트, 연극, 무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연이 개최되고 있다. 2016년 한해 국내에서 개막된 연극, 무용, 뮤지컬 등의 공연은 총 3,701편으로 2015년 3,139편, 2014년 1,605편에 비해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외 가수들의 콘서트 등 대중예술분야에서도 크고 작은 다양한 공연이 최근 늘어나고 있어 공연기획자의 고용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보 전망된다. 하지만 공연기획자는 젊은층이 선호하는 분야여서 입직경쟁은 다소 치열해질 수 있으며 공연단체나 기획사에의 취업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프리랜서로 활동하거나, 협동조합을 만드는 등 종사분야도 다양해지고 있다. 기획에 따라 공연의 질과 콘텐츠가 달라지고 관객의 반응이 직결되는 만큼 기획자의 역량은 무척 중요하다. 따라서 차별화된 공연을 기획하고 나아가 마케팅, 홍보 등의 역량을 갖춘 전문가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문화산업 분야는 경기에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 분야여서 경기 침체가 이어질 경우 일자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자료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