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인·호이스트운전원

요약
하는일고층건축물, 토목건축물 등의 건설공사에서 흙, 모래, 골재, 목재, 철재 등의 자재와 건설장비를 견인·인양·이동·적재하는 기중기를 운전한다.
되는길크레인 및 호이스트운전원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이들 장비를 조종·운전하는 것을 배워야 하는데 고등학교의 관련 학과, 직업전문학교, 사설학원 등에서 건설기계, 기중기, 지게차 관련 이론과 실습을 배울 수 있다.
이들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기종별로 관련 자격을 취득해야 한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기중기운전기능사(국가기술)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국가기술)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975만원, 평균(50%) 4454.8만원, 상위(25%) 4900만원
만족도62.3
일자리전망증가(20%) 현상유지(50%) 감소(30%)
업무수행능력움직임 통제(98)/장비의 유지(98)/작동 점검(95)/설치(95)/반응시간과 속도(92)
지식운송(97)/기계(97)/안전과 보안(68)/지리(63)/건축 및 설계(55)
업무환경움직이는 기계(100)/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100)/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9)/위험한 장비 노출(99)/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99)
성격독립성(44)/스트레스 감내성(42)/혁신(33)/사회성(31)/꼼꼼함(31)
흥미현실형(Realistic)(66)/예술형(Artistic)(17)
직업가치관고용안정(72)/다양성(65)/경제적 보상(63)/인정(63)/이타(60)
업무활동 중요도차량, 기계, 장비 작동(98)/기계장비 유지 보수(92)/물건 조종, 운반(91)/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8)/기계장치 제어(86)
업무활동 수준차량, 기계, 장비 작동(97)/기계장비 유지 보수(93)/물건 조종, 운반(93)/기계장치 제어(88)/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7)
관련직업지게차운전원
직무개요
  • 고층건축물, 토목건축물 등의 건설공사에서 흙, 모래, 골재, 목재, 철재 등의 자재와 건설장비를 견인·인양·이동·적재하는 기중기를 운전한다.

수행직무
  • 작업지시서에 따라 이동시킬 물품의 종류·위치 등을 확인한다.
  • 작업목적에 따라 부대품을 선택하고 수공구를 사용하여 붐(boom)에 작업장치를 조립·설치한다.
  • 점검 일지에 명시된 사항을 점검한다.
  • 시동순서에 따라 엔진을 시동한다.
  • 레버를 조작하여 기중기방향을 조종하고 작업장소로 운전한다.
  • 작업중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중기의 수평상태를 확인하고 정차시킨다.
  • 운반물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고 기중기신호수의 신호에 따라 붐을 상승·회전·이동·하강시켜 운반물을 작업목적에 따라 이동시킨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크레인·호이스트운전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2.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크레인 및 호이스트운전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 건설 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크레인 및 기중기는 건설 현장 및 물류센터 등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건설 수주 및 화물 물류량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는다.
  • 국내 건설수주는 2008년 1,039,068억 원 이후 감소세를 지속하여 2013년 778,847억 원으로 감소한 뒤 2015년에는 저금리와 주택경기 회복세로 인해 역대 최고치인 1,343,377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 그러나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향후 국내 건설경기 하락 가능성」(이홍일·박철한, 2016)에 따르면, 국내 건설경기는 2017년 하반기부터 하락하여 2018년 이후에 큰 폭으로 침체될 것으로 전망된다.
  • 또한 정부는 급증하는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해 신규 분양물량을 조절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은 정책방안을 발표한 바 있어 신규주택 건설이 감소할 전망이다.
  • 그리고 정부의 2016년 SOC 관련 예산은 20조 7천억 원으로 2015년 본예산 대비 9,917억 원 감소한 것처럼 정부의 SOC에 관련 예산을 점차 감소할 전망이어서 건설경기의 전망은 밝지 않다.
  • 한편, 국토교통부,대한건설정책연구원(2015)에서 발간한 「건설기계 수급정책 연구」에 따르면, 향후 5년간 기중기의 수요는 2015년 9,296대에서 2019년 9,703대로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기중기운전원의 인력증가폭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20%
    유지 50%
    다소 감소 30%
    감소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