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인·호이스트운전원

요약
하는일고층건축물, 토목건축물 등의 건설공사에서 흙, 모래, 골재, 목재, 철재 등의 자재와 건설장비를 견인·인양·이동·적재하는 기중기를 운전한다.
되는길크레인 및 호이스트운전원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이들 장비를 조종·운전하는 것을 배워야 하는데 고등학교의 관련 학과, 직업전문학교, 사설학원 등에서 건설기계, 기중기, 지게차 관련 이론과 실습을 배울 수 있다. 이들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기종별로 관련 자격을 취득해야 한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기중기운전기능사(국가기술)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국가기술)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975만원, 평균(50%) 4454.8만원, 상위(25%) 4900만원
만족도62.3
일자리전망증가(20%) 현상유지(50%) 감소(30%)
업무수행능력움직임 통제(98)/장비의 유지(98)/작동 점검(95)/설치(95)/반응시간과 속도(92)
지식운송(97)/기계(97)/안전과 보안(68)/지리(63)/건축 및 설계(55)
업무환경움직이는 기계(100)/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100)/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9)/위험한 장비 노출(99)/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99)
성격독립성(44)/스트레스 감내성(42)/혁신(33)/사회성(31)/꼼꼼함(31)
흥미현실형(Realistic)(66)/예술형(Artistic)(17)
직업가치관고용안정(72)/다양성(65)/경제적 보상(63)/인정(63)/이타(60)
업무활동 중요도차량, 기계, 장비 작동(98)/기계장비 유지 보수(92)/물건 조종, 운반(91)/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8)/기계장치 제어(86)
업무활동 수준차량, 기계, 장비 작동(97)/기계장비 유지 보수(93)/물건 조종, 운반(93)/기계장치 제어(88)/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7)
관련직업지게차운전원
직무개요
  • 고층건축물, 토목건축물 등의 건설공사에서 흙, 모래, 골재, 목재, 철재 등의 자재와 건설장비를 견인·인양·이동·적재하는 기중기를 운전한다.
수행직무
  • 작업지시서에 따라 이동시킬 물품의 종류·위치 등을 확인한다.
  • 점검 일지에 명시된 사항을 점검한다.
  • 레버를 조작하여 기중기방향을 조종하고 작업장소로 운전한다.
  • 운반물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고 기중기신호수의 신호에 따라 붐을 상승·회전·이동·하강시켜 운반물을 작업목적에 따라 이동시킨다.
임금
행정부고위공무원 임금 정보
하위(25%) 중위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크레인·호이스트운전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2.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 향후 5년간 크레인 및 호이스트운전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건설 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크레인 및 기중기는 건설 현장 및 물류센터 등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건설 수주 및 화물 물류량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는다. 국내 건설수주는 2008년 1,039,068억 원 이후 감소세를 지속하여 2013년 778,847억 원으로 감소한 뒤 2015년에는 저금리와 주택경기 회복세로 인해 역대 최고치인 1,343,377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향후 국내 건설경기 하락 가능성」(이홍일·박철한, 2016)에 따르면, 국내 건설경기는 2017년 하반기부터 하락하여 2018년 이후에 큰 폭으로 침체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정부는 급증하는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해 신규 분양물량을 조절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은 정책방안을 발표한 바 있어 신규주택 건설이 감소할 전망이다. 그리고 정부의 2016년 SOC 관련 예산은 20조 7천억 원으로 2015년 본예산 대비 9,917억 원 감소한 것처럼 정부의 SOC에 관련 예산을 점차 감소할 전망이어서 건설경기의 전망은 밝지 않다. 한편, 국토교통부,대한건설정책연구원(2015)에서 발간한 「건설기계 수급정책 연구」에 따르면, 향후 5년간 기중기의 수요는 2015년 9,296대에서 2019년 9,703대로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기중기운전원의 인력증가폭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 자료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