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행정사무원
요약
하는일 | 개인 또는 사업체가 납부하는 세금, 부담금 및 기타 형태의 과징금 등의 금액을 결정하기 위하여 세금신고서, 판매영수증 및 기타 서류를 검사한다. |
---|---|
되는길 | 각종 세법에 따라 개인 또는 사업체가 납부하는 각종 세금의 금액을 결정하기 위하여 신고서, 판매영수증, 세금계산서 및 기타 관련 서류를 검토하고, 과세자료를 추적ㆍ조사하고, 세금을 부과, 승인 결정하는데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조세행정 사무원이 되려면 국세청에 입사해야 한다. 시험에 합격하면 국세청 본부나 지방의 세무서 등에 근무한다. 응시자격을 보면 국가직 공무원은 만 18세이상 ∼ 만 28세 이하이어야 하며 지방직 공무원은 만 18세이상 ∼ 만 32세 이하 (서울은 만 30세 이하) 이어야 한다. 학력·경력·성별 등에 제한은 없으나 국어, 한국사, 영어, 세법개론, 회계학(회계원리, 원가회계) 등의 필기시험에 합격하고 면접을 거쳐야 한다. 각 년마다 채용 예정된 인원을 목표로 고득점자 순으로 결정한다. |
전공 | 법학과 비서학과 세무·회계학과 정치외교학과 행정학과 |
자격 | 전산세무회계(국가공인 민간) 전산회계운용사 1,2,3급(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550만원, 평균(50%) 4172만원, 상위(25%) 5180만원 |
만족도 | 75.4 |
일자리전망 | 증가(6%) 현상유지(57%) 감소(37%) |
업무수행능력 | 수리력(96)/전산(91)/논리적 분석(84)/읽고 이해하기(82)/듣고 이해하기(81) |
지식 | 경제와 회계(99)/사무(90)/산수와 수학(90)/법(88)/경영 및 행정(81) |
업무환경 | 자동화 정도(99)/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5)/앉아서 근무(89)/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86)/마감시간(85) |
성격 | 자기통제(64)/정직성(58)/분석적 사고(40)/타인에 대한 배려(37)/독립성(35)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90)/사회형(Social)(59) |
직업가치관 | 고용안정(98)/애국(94)/신체활동(88)/인정(80)/심신의 안녕(77) |
업무활동 중요도 | 행정, 관리 업무(97)/정보 작성, 기록(84)/컴퓨터 업무(83)/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81)/정보 처리(77) |
업무활동 수준 | 행정, 관리 업무(96)/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0)/컴퓨터 업무(87)/정보 처리(85)/정보 작성, 기록(85) |
관련직업 | 관세행정사무원 병무행정사무원 일반행정공무원 법원공무원 |
직무개요
- 개인 또는 사업체가 납부하는 세금, 부담금 및 기타 형태의 과징금 등의 금액을 결정하기 위하여 세금신고서, 판매영수증 및 기타 서류를 검사한다.
수행직무
- 각종 세법에 따라 개인 또는 사업체가 납부하는 각종 세금의 금액을 결정하기 위하여 신고서, 판매영수증, 세금계산서 및 기타 관련 서류를 검토하고, 과세자료를 추적·조사한다.
- 세금을 부과, 승인 결정하는데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다.
- 각종 세금의 결정과 납부에 관한 법령의 올바른 해석 및 국민의 권리와 의무에 관하여 단체, 기업, 시민에게 조언한다.
- 법령과 업무처리 규정에 따라 조세행정 업무를 계획하고 시행한다.
- 각종 보고서나 문서를 기안하고 시행하며 기타 조세행정 업무를 수행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550만원 |
4172만원 |
5180 만원 |
직업만족도
- 조세행정사무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5.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조세행정사무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 조세행정사무원은 국세청이나 지방 자치단체에서 소득세·법인세·부가가치세· 취득세·재산세 등의 세목에 대해서 세금을 징수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 세금에 대한 민원이 증가하고 있고 또한 세금을 내지 않는 사람들이 증가하여 이들에게 세금을 납부하도록 유도하는 조세행정사무원을 국세청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매년 일정 이상의 규모로 채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 그러나 이들의 신분은 공무원으로 고용안정을 중시하는 구직자들이 대거 몰리면서 입직을 위해서는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 하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