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형원
요약
하는일 | 각종 금속공작기계, 수공구 및 정밀측정기를 사용하여 금형을 제작·보수·정비한다. |
---|---|
되는길 | 직업훈련기관에 프레스금형, 사출금형, 전산응용프레스금형과정 등 금형원이 되기 위한 단기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정규교육과정으로는 공업계 고등학교의 금형과, 금형설계과, 금형관리과 등과 전문대학 이상의 금형설계학과, 컴퓨터응용금형과 등이 있다. 금형원의 훈련 및 교육과정을 보면, 금형제작과 금형성형으로 나누어지는데 금형제작은 정밀측정, 금형공작법, 밀링 및 연삭가공, CNC 공작, 금형 및 성형재료, 프레스금형제작, 사출금형제작 등을 배우게 된다. 금형성형은 프레스기계, 사출성형기, 치공구 사용법, 금형 설치법, 성형품 검사 및 불량대책, 정밀측정 등을 배우게 된다. 이 외에도 CAD/CAM 기술 및 수치제어공작기계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 및 훈련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
전공 | 재료·금속공학과 |
자격 | 금형기술사(국가기술) 금형제작기능장(국가기술) 비파괴검사기술사(국가기술) 사출금형산업기사(국가기술) 전기기능사(국가기술) 프레스금형설계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225만원, 평균(50%) 3700만원, 상위(25%) 4403만원 |
만족도 | 61.8 |
일자리전망 | 증가(10%) 현상유지(23%) 감소(66%) |
업무수행능력 | 작동 점검(81)/기술 분석(77)/품질관리분석(74)/고장의 발견.수리(74)/조작 및 통제(70) |
지식 | 상품 제조 및 공정(99)/기계(97)/공학과 기술(90)/안전과 보안(76)/교육 및 훈련(52) |
업무환경 | 오염물질 노출(99)/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8)/위험한 장비 노출(98)/소음 노출(96)/온몸 진동 노출(96) |
성격 | 꼼꼼함(67)/스트레스 감내성(42)/리더십(41)/자기통제(36)/인내(35) |
흥미 | 현실형(Realistic)(98)/진취형(Enterprising)(53) |
직업가치관 | 경제적 보상(47)/자율(29)/성취(27)/신체활동(21)/개인지향(18) |
업무활동 중요도 | 기계장치 제어(91)/기계장비 유지 보수(90)/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8)/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7)/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1) |
업무활동 수준 |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2)/기계장치 제어(88)/기계장비 유지 보수(88)/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1)/일반적인 신체활동(80) |
관련직업 | 금속공작기계조작원 |
직무개요
- 각종 금속공작기계, 수공구 및 정밀측정기를 사용하여 금형을 제작·보수·정비한다.
수행직무
- 설계도면을 검토하고, 가공방법과 공정계획을 세운다.
- 금속재료를 선택하고 가공 치수를 측정해 표시한다.
- 물림장치를 사용하여 정반이나 작업대에 공작물을 설치·고정시킨다
- 각종 금속공작기계(선반, 밀링, 머시닝센터, 와이어 커팅머신 등)를 조작하여 부품을 가공하고, 열처리를 가한다.
- 제작한 금속부품의 치수를 확인하고, 연삭기, 방전기 등 공구를 사용하여 부품을 다듬질한다.
- 가공된 금형부품을 조립하여 완성한다.
- 사용자가 요구하는 치수, 모양 등이 다르거나 불량품이 나오면 그 원인을 규명하고 개선방안을 찾아낸다.
- 사용기계, 공구, 측정기 등을 정리·정돈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225만원 |
3700만원 |
4403 만원 |
직업만족도
- 금형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1.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금형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금형원의 고용과 관계되는 금형산업은 주로 금형으로 제작되는 신제품의 출시주기와 연동되기 때문이다.
- 대규모 경기 침체기를 제외하고는 경기변동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편인데 또한 전방산업인 자동차, 가전기기 등의 내수와 국내업체의 해외진출로 수출비중이 증가하면서 점차 수출산업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 고용은 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들의 성장과 기술의 발전에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 금형을 활용하는 제품 중에는 IT산업 및 전자 산업 관련 제품이 많다.
- 이들 분야 산업의 활성화는 금형원의 고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 그리고 CAD/CAM 시스템 등의 활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신기술 인력과 신제품 개발을 위한 전문 인력이 필요하여 고급 인력에 대한 수요가 지속될 전망이다.
- 한편으로 입체(3D)프린팅의 확산은 점차적으로 금형원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 입체(3D)프린팅은 국내외 유수의 기관들이 미래유망기술로 선정한 바 있는 유망산업 분야이다.
- 향후 새로운 기술의 개발,특히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 등의 진척에 따라 자동차, 항공·우주, 방위산업, 가전제품, 의료 및 의료장비, 의학, 건축, 교육, 애니메이션 및 엔터테인먼트, 완구, 패션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도가 커질 전망이다.
- 이러한 입체(3D)프린팅 분야의 발전은 금형원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지만, 기존의 금형, 공작기계 분야와 기술 기능적 결합이 이루어지고 융합된 직무로 전환된다면 고용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 또한 기술적, 소재적 발전이 이루어지면 제조업 분야와의 결합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 또한 인건비 상승과 3D업종 기피로 인하여 주요 금형 관련 업체들이 중국 등 해외로 이전하고 있다.
-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국내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따라서 금형업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중국 등의 현지생산 확대와 금형의 자동화 등으로 금형원의 국내 고용전망은 현 상태에 머무르거나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