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형원

요약
하는일각종 금속공작기계, 수공구 및 정밀측정기를 사용하여 금형을 제작·보수·정비한다.
되는길직업훈련기관에 프레스금형, 사출금형, 전산응용프레스금형과정 등 금형원이 되기 위한 단기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정규교육과정으로는 공업계 고등학교의 금형과, 금형설계과, 금형관리과 등과 전문대학 이상의 금형설계학과, 컴퓨터응용금형과 등이 있다. 금형원의 훈련 및 교육과정을 보면, 금형제작과 금형성형으로 나누어지는데 금형제작은 정밀측정, 금형공작법, 밀링 및 연삭가공, CNC 공작, 금형 및 성형재료, 프레스금형제작, 사출금형제작 등을 배우게 된다. 금형성형은 프레스기계, 사출성형기, 치공구 사용법, 금형 설치법, 성형품 검사 및 불량대책, 정밀측정 등을 배우게 된다. 이 외에도 CAD/CAM 기술 및 수치제어공작기계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 및 훈련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전공재료·금속공학과
자격금형기술사(국가기술)
금형제작기능장(국가기술)
비파괴검사기술사(국가기술)
사출금형산업기사(국가기술)
전기기능사(국가기술)
프레스금형설계기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225만원, 평균(50%) 3700만원, 상위(25%) 4403만원
만족도61.8
일자리전망증가(10%) 현상유지(23%) 감소(66%)
업무수행능력작동 점검(81)/기술 분석(77)/품질관리분석(74)/고장의 발견.수리(74)/조작 및 통제(70)
지식상품 제조 및 공정(99)/기계(97)/공학과 기술(90)/안전과 보안(76)/교육 및 훈련(52)
업무환경오염물질 노출(99)/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8)/위험한 장비 노출(98)/소음 노출(96)/온몸 진동 노출(96)
성격꼼꼼함(67)/스트레스 감내성(42)/리더십(41)/자기통제(36)/인내(35)
흥미현실형(Realistic)(98)/진취형(Enterprising)(53)
직업가치관경제적 보상(47)/자율(29)/성취(27)/신체활동(21)/개인지향(18)
업무활동 중요도기계장치 제어(91)/기계장비 유지 보수(90)/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8)/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7)/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1)
업무활동 수준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2)/기계장치 제어(88)/기계장비 유지 보수(88)/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1)/일반적인 신체활동(80)
관련직업금속공작기계조작원
직무개요
  • 각종 금속공작기계, 수공구 및 정밀측정기를 사용하여 금형을 제작·보수·정비한다.
수행직무
  • 설계도면을 검토하고, 가공방법과 공정계획을 세운다.
  • 물림장치를 사용하여 정반이나 작업대에 공작물을 설치·고정시킨다
  • 제작한 금속부품의 치수를 확인하고, 연삭기, 방전기 등 공구를 사용하여 부품을 다듬질한다.
  • 사용자가 요구하는 치수, 모양 등이 다르거나 불량품이 나오면 그 원인을 규명하고 개선방안을 찾아낸다.
임금
행정부고위공무원 임금 정보
하위(25%) 중위 상위(25%)

3225만원

3700만원

4403 만원

직업만족도
  • 금형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1.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 향후 5년간 금형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형원의 고용과 관계되는 금형산업은 주로 금형으로 제작되는 신제품의 출시주기와 연동되기 때문이다. 대규모 경기 침체기를 제외하고는 경기변동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편인데 또한 전방산업인 자동차, 가전기기 등의 내수와 국내업체의 해외진출로 수출비중이 증가하면서 점차 수출산업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고용은 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들의 성장과 기술의 발전에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금형을 활용하는 제품 중에는 IT산업 및 전자 산업 관련 제품이 많다. 이들 분야 산업의 활성화는 금형원의 고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CAD/CAM 시스템 등의 활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신기술 인력과 신제품 개발을 위한 전문 인력이 필요하여 고급 인력에 대한 수요가 지속될 전망이다. 한편으로 입체(3D)프린팅의 확산은 점차적으로 금형원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입체(3D)프린팅은 국내외 유수의 기관들이 미래유망기술로 선정한 바 있는 유망산업 분야이다. 향후 새로운 기술의 개발,특히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 등의 진척에 따라 자동차, 항공·우주, 방위산업, 가전제품, 의료 및 의료장비, 의학, 건축, 교육, 애니메이션 및 엔터테인먼트, 완구, 패션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도가 커질 전망이다. 이러한 입체(3D)프린팅 분야의 발전은 금형원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지만, 기존의 금형, 공작기계 분야와 기술 기능적 결합이 이루어지고 융합된 직무로 전환된다면 고용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술적, 소재적 발전이 이루어지면 제조업 분야와의 결합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인건비 상승과 3D업종 기피로 인하여 주요 금형 관련 업체들이 중국 등 해외로 이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국내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금형업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중국 등의 현지생산 확대와 금형의 자동화 등으로 금형원의 국내 고용전망은 현 상태에 머무르거나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자료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