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조립원
요약
하는일 | 작업도면에 따라 건조된 선박에 가솔린, 디젤기관, 프로펠러, 펌프, 보일러, 조정장치 등 선박기계장치를 설치한다. |
---|---|
되는길 | 선박조립원은 취업 시 나이나 학력에 제한을 받지 않는 편이다. 간단한 수조립은 몇 시간에서 며칠간의 현장 교육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자동조립라인이나 정밀조립은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기계, 전기, 전자, 통신 관련 학과 등을 전공하면 업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기계조립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459만원, 평균(50%) 3918.4만원, 상위(25%) 4714만원 |
만족도 | 55.3 |
일자리전망 | 증가(0%) 현상유지(30%) 감소(70%) |
업무수행능력 | 고장의 발견.수리(97)/장비의 유지(96)/움직임 통제(96)/작동 점검(95)/정교한 동작(94) |
지식 | 기계(90)/상품 제조 및 공정(68)/공학과 기술(65)/운송(57)/물리(48) |
업무환경 | 온몸 진동 노출(100)/고지대 작업(99)/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7)/비좁은 업무 공간(96)/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96) |
성격 | 성취/노력(33)/인내(31)/분석적 사고(28)/꼼꼼함(25)/독립성(24)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46)/현실형(Realistic)(40) |
직업가치관 | 애국(74)/자율(23)/심신의 안녕(22)/경제적 보상(16)/고용안정(16) |
업무활동 중요도 | 기계장치 제어(99)/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9)/차량, 기계, 장비 작동(99)/기계장비 유지 보수(99)/물건 조종, 운반(98) |
업무활동 수준 | 차량, 기계, 장비 작동(99)/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8)/기계장치 제어(98)/기계장비 유지 보수(98)/물건 조종, 운반(96) |
관련직업 | 자동차조립원 자동차부품조립·검사원 |
직무개요
- 작업도면에 따라 건조된 선박에 가솔린, 디젤기관, 프로펠러, 펌프, 보일러, 조정장치 등 선박기계장치를 설치한다.
수행직무
- 작업도면을 보고 각종 기기의 설치 위치를 확인하고 작업방법을 설정한다.
- 설치 위치를 표시하고 철판에 구멍을 뚫는다.
- 기중기를 이용하여 설치할 구멍 위에 기관을 올려놓고, 기관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중심을 맞추어 볼트로 고정한다.
- 작업방법 및 순서에 따라 보조기관·부품 및 각종 게이지 등을 조립하고 작동시험을 한다.
- 드라이버, 스패너, 용법장비, 동튜브, 테이프 등 작업에 필요한 도구와 설치할 각종 계기를 준비한다.
- 증발기, 펌프, 보일러, 프로펠러 등의 선박기계장치를 작업순서에 의거하여 설치한다
- 각종 센서 및 밸브를 설치한 후 공기나 오일이 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 설치된 기계장치 및 장비의 작동상태를 검사하여 도면과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선박조립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5.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선박조립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선박을 포함한 기계공학은 다른 산업들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우리나라 경제성장에 기여하여 왔다.
- 기계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밝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세부 분야에 따라서는 명암이 갈릴 것으로 추정된다.
- 수송용기계 분야(특히, 선박)는 전체 기계산업의 40%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중국 조선업의 성장에 따른 경쟁삼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다만, 에너지 개발을 위하여 시추선 등과 같은 특수선박,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응한 친환경선박(그린쉽) 등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발새할 것이다.
- 하지만 선박조립원은 공정의 자동화에 따라 인력 감축이 불가피하게 되었으며 3D업종이라는 인식이 강해 취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어 국내 인력이 외국인근로자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 그리고 국내 기업들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저렴한 개발도상국으로 공장을 이전하게 됨에 따라 국내 제품조립원에 대한 고용은 감소할 전망이다.
- 한편 공정의 자동화에도 불구하고 항공 및 군수분야 등 전문 기술력이 요구되는 분야에 대한 조립원 수요는 계속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