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석·석제품생산기계조작원

요약
하는일석재를 절단·성형 가공하여 건물 및 기념비용 석제품, 포장용 판석, 가구 및 장치물, 조상, 병, 그릇 및 용기 등을 제조하는 기기를 조작한다.
되는길일반적으로 특별한 학력이나 자격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공업계 고등학교나 전문대학에서 관련분야를 전공하면 업무수행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되는 방법은 보통 공업계 고등학교나 전문대학 등에서 재료, 요업 등과 관련하여 교육을 받고 업체에 취업하는 방법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숙련공의 보조원으로 취업한 후에 경력과 기능을 쌓아 전문가로 성장하는 방법이 있다.
광석 및 석제품가공기조작원은 현장부서에서 실무경험을 쌓아서 일정기간이 지나면 작업현장의 작업반장이나 주임으로 성장이 가능하고, 컴퓨터조작과 제어장치조작이 가능하면 제어장치조작원을 겸할 수 있으며 중간관리자로 성장할 수 있다.
또한 일반 기계조작 직무를 수행하고 어느 정도 경험이 쌓이면 제어장치조작의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연삭기능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316만원, 평균(50%) 3922.4만원, 상위(25%) 4284만원
만족도55.8
일자리전망증가(3%) 현상유지(37%) 감소(60%)
업무수행능력신체적 강인성(97)/정교한 동작(95)/조작 및 통제(94)/움직임 통제(94)/장비의 유지(91)
지식상품 제조 및 공정(94)/기계(85)/건축 및 설계(78)/디자인(74)/공학과 기술(71)
업무환경온몸 진동 노출(100)/위험한 장비 노출(100)/오염물질 노출(99)/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6)/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95)
성격꼼꼼함(67)/인내(38)/스트레스 감내성(35)/정직성(24)/책임과 진취성(21)
흥미현실형(Realistic)(69)/예술형(Artistic)(67)
직업가치관개인지향(49)/경제적 보상(29)/다양성(28)/지적 추구(25)/인정(23)
업무활동 중요도기계장치 제어(81)/기계장비 유지 보수(70)/차량, 기계, 장비 작동(62)/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59)/물건 조종, 운반(54)
업무활동 수준기계장치 제어(83)/기계장비 유지 보수(69)/차량, 기계, 장비 작동(52)/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51)/전자장비 유지 보수(45)
관련직업유리·유리제품생산기계조작원
점토제품생산기계조작원
시멘트·광물제품생산기계조작원
직무개요
  • 석재를 절단·성형 가공하여 건물 및 기념비용 석제품, 포장용 판석, 가구 및 장치물, 조상, 병, 그릇 및 용기 등을 제조하는 기기를 조작한다.

수행직무
  • 와이어톱(wire saw), 다이아몬드 톱 등을 조작하여 석재를 일정한 크기로 자른다.
  • 천공 드릴을 조작하여 석판이나 석재에 구멍을 뚫는다.
  • 석제품의 표면을 문지르거나 깎는 등의 방법으로 광택을 내는 기계를 운전·조작한다.
  • 석재나 석판을 일정한 형태로 만들고, 매끈하게 다듬거나 각지게 가공하기 위해 평삭기를 조작한다.
  • 산업용 다이아몬드 제조기를 조작하는 사람, 모자이크 절단기 조작원, 연마석제품 제조기 조작원 등도 이에 포함된다.
  • 기계장치를 세척하고 정비한다.
  • 생산기록을 작성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광석·석제품생산기계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5.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광석 및 석제품가공기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 통계청의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현황을 보면, 종사자 수가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비금속광물가공 및 제품제조 관련 생산시설의 자동화와 대형화로 노동집약적인 단순기능직에 대한 인력 감축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 비금속가공관련 산업은 이미 성숙기에 접어들고 있어 향후 제품의 양보다는 질을 추구하고 있으며, 기업의 경영 방식도 제품에 대한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 무엇보다도 건설경기 침체로 유리, 타일, 위생도기, 시멘트, 벽돌, 콘크리트 등 건축 관련 비금속광물가공제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어 관련 인력의 수요도 감소하고 있다.
  • 현재 숙련공들은 주로 50대 후반으로 내국인이 구인되지 않아 주로 외국인 고용으로 대체되고 있는 중이기도 하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3%
    유지 37%
    다소 감소 50%
    감소 1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