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선전기공
요약
하는일 | 송전, 송전활선, 배전, 배전활선 등 옥외 전기설비의 시공 및 보수를 한다. |
---|---|
되는길 | 외선전공이 되는 데 특별한 학력제한은 없지만, 전기회로나 배선도면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수준이 필요하다. 실제 외선전공들 대부분은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이거나 공공 및 민간 직업훈련기관의 전기 관련과를 졸업한 경우가 많다. 요즘은 2~3년제 대학 이상의 학력으로 전공이 되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 전력 및 전기 시설이 점점 대용량화·고속화하고 있기 때문에 늘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여야 하며 전기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함께 현장 실무 경험이 반드시 필요하다. 작업 중에 여러 색상의 전선을 구별해야 할 때가 많으므로 색맹이면 업무수행이 어렵다. |
전공 | 전기공학과 |
자격 | 전기공사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전기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626만원, 평균(50%) 4200만원, 상위(25%) 4973만원 |
만족도 | 63.3 |
일자리전망 | 증가(6%) 현상유지(26%) 감소(66%) |
업무수행능력 | 설치(97)/고장의 발견.수리(92)/장비 선정(91)/신체적 강인성(91)/장비의 유지(87) |
지식 | 기계(91)/공학과 기술(68)/안전과 보안(66)/통신(61)/건축 및 설계(55) |
업무환경 | 고지대 작업(100)/위험한 상태 노출(100)/실외 근무(98)/보호장비 착용(97)/서서 근무(97) |
성격 | 꼼꼼함(71)/리더십(55)/성취/노력(54)/독립성(44)/협조(41) |
흥미 | 현실형(Realistic)(87)/탐구형(Investigative)(24) |
직업가치관 | 다양성(56)/고용안정(43)/경제적 보상(41)/성취(40)/이타(37) |
업무활동 중요도 | 차량, 기계, 장비 작동(95)/일반적인 신체활동(93)/기계장비 유지 보수(91)/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0)/물건 조종, 운반(87) |
업무활동 수준 | 일반적인 신체활동(95)/물건 조종, 운반(94)/차량, 기계, 장비 작동(94)/기계장비 유지 보수(93)/기계장치 제어(93) |
관련직업 | 산업전기공 내선전기공 |
직무개요
- 송전, 송전활선, 배전, 배전활선 등 옥외 전기설비의 시공 및 보수를 한다.
수행직무
-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변전소나 배전소를 거쳐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철탑이나 전주 및 전선 등을 설치하고 가설한다.
- 발전소와 변전소 사이에 전기 공급선을 설치하기 위해 철탑을 조립하여 고압선이나 저압선 등을 가설하고, 애자, 차단기, 변압기 등 관련 기기나 부품을 설치한다.
- 발전소와 변전소, 변전소와 변전소 사이로 양질의 전기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각종 송·배전 설비를 보수한다.
- 송·배전 설비에 문제가 발생하면 단로기, 차단기, 변압기 등에서 문제발생 원인을 찾고 이를 해체하여 보수하거나 다른 것으로 교환한다.
- [가로등설치반장] 도로조명용 가로등 또는 교통신호등을 설치·수리하는 작업원의 활동을 감독·조정한다
- [가로등설치원] 도로조명용 가로등과 교통신호등을 설치·보수한다.
- [광산전공원] 광산의 전기설비, 전기기기 등의 원활한 가동을 위하여 전기설비·신호기 등을 설치·유지·수리한다.
- [광산전기반장] 광산에서 착암, 운반, 선광 등의 작업에 필요한 전기공작물, 전기시설, 전기장비 등을 설치·유지·수리·관리하는 일을 하는 작업원의 활동을 감독·조정한다.
- [도로조명수선원] 도로의 가로등, 교통신호등 등을 시험·수선·조정한다.
- [배전선로순시원] 배전설비의 효율적인 운영과 양질의 전력 공급을 위하여 선로경과지를 순회하며 선로 및 배전설비의 이상 및 장애요인 등을 점검한다.
- [배전설비보수원] 지중선로, 애자, 변압기, 단로기, 개폐기 등 배전설비의 장애요인을 제거하고, 파손된 설비를 교체·보수하는 제반 업무를 수행한다.
- [배전작업반장] 전기·통신·조명시설용 콘크리트주(CP주), 강관주 등을 세우고 전선을 가설하는 작업원의 활동을 감독·조정한다.
- [배전전공] 가공 배전선로의 콘크리트 전주 등 지지물 설치, 지중관로 부설, 전선 가선 또는 포설, 변압기, 개폐기 등의 배전기기 설치와 유지관리에 따른 시공을 한다.
- [송변전설비보수원] 발전소와 변전소, 변전소와 변전소로의 안정적인 전기공급을 위하여 각종 송·변전설비의 설치 및 보수에 대한 제반업무를 수행한다.
- [송전반장] 발전소와 변전소 사이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송전탑을 세우고 전선을 가설하는 작업원의 활동을 감독·조정한다.
- [송전전공] 발전소에서 변전소 또는 변전소 간의 전력 수송을 위하여 철탑 또는 지하 전력구를 설치하며 애자 등의 장치하고 전력선을 부설한다.
- [전동차선로관리원] 도면 및 작업지시서에 따라 전동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변전소, 전기실, 전주, 배전선, 전차선, 고압선 등의 전기시설을 점검, 유지보수 및 관리한다
- [통신전원유지보수원] 통신설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정류기, 축전지, 변압기, 발전기, 수배전반 등의 전력공급시설을 유지·보수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626만원 |
4200만원 |
4973 만원 |
직업만족도
- 외선전기공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3.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외선전기공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외선전기공은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철탑이나 전주, 전선 등을 설치하고 가설하는 일을 하는데, 현장작업이 많은 전기설비직종은 전통적인 3D직종으로 인식되어 신규 취업 희망자가 줄어들면서 업체들은 심각한 구인난을 겪고 있다.
- 업무강도에 비해 임금이 낮고 건설업체의 특성상 하도급으로 업무가 이루어져 외선전기공 대부분의 신분이 안정되지 못한 것도 한 원인이기도 하다.
- 외선공사를 담당하는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는 하도급 업체의 관행도 외선전기공의 수요에 부정적 요인이 될 수 있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