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설비조작원

요약
하는일건물, 빌딩, 아파트, 공장 내에 설치되어 잇는 전기공작물, 전기시설, 전기장비 등의 원활한 가동 및 유지를 위하여 전기·전자 설비를 조작, 유지, 보수한다.
되는길전기 및 전자설비조작원으로 일하려면 고등학교 졸업 정도의 학력이 있어야 한다.
특성화 고등학교나 직업훈련기관에서 자동제어 및 전기·전자, 컴퓨터 관련 교육을 받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에 유리하다.
또한 직업훈련기관에서 전기·전자 및 기계와 관련된 과목을 이수한 후 취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기·전자 및 기계이론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조작 대상이 되는 구조물인 상가건물, 아파트, 개별 공장 등의 전기설비의 특징을 파악하는 안목이 있어야 한다.
전선이나 부품들은 색으로 구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색맹·색약은 취업하기 어렵다.
취업할 때는 학력보다는 전기산업기사나 전기기사 등 관련 자격증 소지가 도움이 된다.
이들은 보통 병원, 대학, 공공기관, 상업시설물 등에서 근무한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전기기능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전자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220만원, 평균(50%) 3522.4만원, 상위(25%) 3937만원
만족도70.7
일자리전망증가(69%) 현상유지(22%) 감소(9%)
업무수행능력조작 및 통제(93)/장비의 유지(91)/고장의 발견.수리(91)/작동 점검(90)/설치(86)
지식건축 및 설계(99)/기계(87)/안전과 보안(87)/통신(65)/공학과 기술(65)
업무환경위험한 상태 노출(99)/고지대 작업(98)/보호장비 착용(92)/비좁은 업무 공간(89)/걷거나 뛰기(87)
성격꼼꼼함(71)/자기통제(33)/신뢰성(29)/정직성(26)/독립성(20)
흥미관습형(Conventional)(54)/사회형(Social)(38)
직업가치관이타(61)/고용안정(51)/심신의 안녕(46)/경제적 보상(43)/개인지향(36)
업무활동 중요도전자장비 유지 보수(99)/기계장비 유지 보수(92)/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9)/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77)/기계장치 제어(74)
업무활동 수준전자장비 유지 보수(99)/기계장비 유지 보수(91)/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7)/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79)/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76)
관련직업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직무개요
  • 건물, 빌딩, 아파트, 공장 내에 설치되어 잇는 전기공작물, 전기시설, 전기장비 등의 원활한 가동 및 유지를 위하여 전기·전자 설비를 조작, 유지, 보수한다.

수행직무
  • 사업체나 건축물의 전기배선설계도를 검토한다.
  • 전기수리작업에 따른 안전수칙과 수리 방법 및 절차를 숙지하고, 작업에 필요한 보호구 및 수리도구를 준비하여 성능을 점검한다.
  • 수리가 필요한 작업 장소의 주전원 스위치 개폐상태를 확인하고 작업 표시판을 부착한다.
  • 전기설비의 온도, 동작 상태, 체결 상태, 절연 저항, 부식 여부 등을 점검·검사하여 고장 원인과 고장 부품을 찾고, 신품과 교체하거나 수리절차에 따라 제반 문제점을 해결한다.
  • 건축물 내의 누전, 합선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시험을 한다.
  • 지선을 설치하고 휴즈상태, 이상소음, 진동상태, 가열 여부 등을 점검·확인한다.
  • 작업내용, 시간, 소요부품, 작업자 등을 안전작업일지에 기록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전기·전자설비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0.7%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전기 및 전자설비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15-2025 중장기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전기 및 전자설비조작원은 2015년 약 104천명에서 2025년 약 127천명으로 향후 10년 간 약 22천 5백 명(연평균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전기 및 전자설비조작원의 일자리는 신축되는 고층건물의 수에 영향을 받는다.
  • 최근 들어 건물의 고층화가 이뤄지고 있어서 건물의 전기 및 전자 설비를 관리하기 위한 인력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 다만, 인건비 절감 차원에서 필요시 외부로부터 용역 직원을 활용하는 추세가 일반화되면서 근무 여건이 열악해지고 있다.
  • 또한 전기설비 자동화의 가속화로 신축건물 수가 증가하는 것과 비례하여 일자리가 증가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일정 규모 이상의 모든 시설은 전기 및 전자설비조작원을 채용하거나 관리하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취업처가 유지되고 있으며, 현재 신축되는 건물들은 각종 전기나 전자 설비가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전기 및 전자설비 조작원의 고용은 향후 5년간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한편 관련 업계에서는 다기능 기술자를 요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전기, 전자뿐만 아니라 보일러, 냉방기 등 기계분야의 지식과 자격을 함께 갖추고 있으면 높은 임금을 받거나 취업하는 데 유리할 것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69%
    유지 22%
    다소 감소 9%
    감소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