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장비설치·수리원
요약
하는일 | 전신, 전화장비, 구내 통신선로 및 보조기기를 설치하거나 전화국 간 중계선로의 연결 상태를 점검 및 유지보수한다. |
---|---|
되는길 | 통신장비설치·수리원은 설계도면을 이해하고 전자 및 통신구조와 관련한 부품, 장비에 대한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대학에서 전기, 전자, 통신관련 학과를 졸업하면 유리하다. 사설학원에서 무선설비, 통신선로 등에 대한 이론과 실습교육을 받고 취업하기도 한다. 업체에 따라 경력이 많은 수리원들과 팀을 이뤄 숙련 기술자의 보조원으로서 실무를 배우고 경험을 쌓도록 하는 곳도 있다. 주로 방송국, CATV, 위성, 통신업체, 멀티미디어 시설, 영상 및 음향을 전문으로 하는 엔지니어회사, 영상 및 음향기자재 무역회사, 음향, 조명 대행시설 및 용역업체에 주로 근무를 한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무선설비기능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방송통신기능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정보통신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통신기기기능사(국가기술) 통신선로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206만원, 평균(50%) 3764.8만원, 상위(25%) 4000만원 |
만족도 | 60.8 |
일자리전망 | 증가(27%) 현상유지(70%) 감소(3%) |
업무수행능력 | 설치(99)/고장의 발견.수리(99)/작동 점검(97)/조작 및 통제(94)/장비의 유지(94) |
지식 | 통신(100)/컴퓨터와 전자공학(92)/안전과 보안(91)/기계(87)/공학과 기술(83) |
업무환경 | 고지대 작업(100)/위험한 상태 노출(99)/실외 근무(97)/서서 근무(96)/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1) |
성격 | 사회성(53)/성취/노력(51)/책임과 진취성(48)/혁신(46)/인내(45) |
흥미 | 현실형(Realistic)(86)/사회형(Social)(63) |
직업가치관 | 개인지향(40)/다양성(37)/애국(35)/고용안정(24)/지적 추구(21) |
업무활동 중요도 | 전자장비 유지 보수(100)/기계장비 유지 보수(99)/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8)/기계장치 제어(96)/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5) |
업무활동 수준 | 전자장비 유지 보수(99)/기계장비 유지 보수(98)/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7)/기계장치 제어(96)/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6) |
관련직업 | 방송장비설치·수리원 방송·통신·인터넷케이블 설치·수리원 |
직무개요
- 전신, 전화장비, 구내 통신선로 및 보조기기를 설치하거나 전화국 간 중계선로의 연결 상태를 점검 및 유지보수한다.
수행직무
- 통신장비의 설치접수증을 확인하여 설치할 장소와 통신장비의 종류를 확인한다.
- 통신배선도면을 검토하여 주배선반(MDF, Main Distribution Frame)에서부터 중간배선반(IDF, intermediate distributing frame)으로 통신선로를 연결하거나, 구내단자로 직접 연결한다.
- 전화기, 인터넷모뎀 등의 통신장비의 설치가 완료되면 선로시험원에게 연락하여 선로의 장애 유무를 확인한다.
- 전류계, 저항계 등 각종 측정장비를 사용하여 구내의 통신선로를 점검하기도 하며 파손된 장비를 수리하기도 한다.
- 통신장비의 설치 또는 보수의뢰를 확인하고 장소와 통신장비의 종류를 확인한다.
- 설계도면을 참고하여 통신선로를 분리·연결한다.
- 수동공구나 전기인두를 사용하여 전화기나 팩시밀리 등에 연결한다.
- 선로테스트를 통해 선로의 장애 유무를 확인한다.
- 테스터기를 이용하여 각종 통신선로를 점검하고 파손된 장비를 수리한다.
- 파손된 선로가 확인될 시 케이블의 파손 상태 및 수리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선로고장을 보수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통신장비설치·수리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0.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통신장비설치·수리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인터넷 보급이 확산되고 광케이블 수요가 많았을 때에는 관련 종사자가 많이 필요하였으나 현재는 인터넷의 보급 및 사용자 수가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광케이블 포설수요도 차츰 감소하는 추세여서 이들의 고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또한, 유선통신의 이용 감소와 장비의 현대화 및 첨단화도 이들의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 반면, 최근 기존의 지상파 방송사 외에 종편채널 방송국의 설립과 케이블 TV의 채널 확대, DMB 방송 서비스, 초고속 인터넷망의 확산과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서비스의 활성화 역시 방송 및 통신장비 설치 및 수리원의 인력수요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 또한 방송과 통신의 융합 서비스 제공으로 방송망, 통신망, 통신서비스, 방송서비스 등의 구분이 없어지고, 초고속 인터넷을 TV에 연결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IPTV의 실시간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는 점은 인력수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