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가공장치조작원

요약
하는일산업용 기초 화합물 및 중간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파쇄, 가열, 혼합, 증류 또는 여과 화학물을 가공하는 기기를 조작하고, 플라스틱, 고무, 화학섬유 등의 제품 제조를 위한 원료 생산기기를 조작한다.
되는길화학물가공장치조작원은 고졸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
또한, 석유화학공장 등 복잡한 자동화설비를 다루는 경우가 많으므로 화학공학과, 화학과, 기계과 관련 전공자가 유리하다.
업종과 업체의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풍부한 현장 경험과 화학, 물리, 수학 등에 기본지식이 있는 사람을 선호한다.
또 이들은 보통 입사 후 사내 직업훈련원에서 현장교육과 직무교육을 받고 숙련공 밑에서 경력을 쌓아가는 과정을 밟기도 한다.
이들은 대개 기초화합물 제조업체에서 근무한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위험물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화공기사, 산업기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613만원, 평균(50%) 4044.3만원, 상위(25%) 4800만원
만족도62.2
일자리전망증가(33%) 현상유지(17%) 감소(50%)
업무수행능력고장의 발견.수리(94)/작동 점검(91)/조작 및 통제(89)/움직임 통제(89)/장비의 유지(85)
지식상품 제조 및 공정(91)/화학(91)/기계(85)/물리(67)/공학과 기술(47)
업무환경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100)/위험한 상태 노출(99)/위험한 장비 노출(98)/자동화 정도(98)/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95)
성격인내(38)/책임과 진취성(27)/스트레스 감내성(25)/타인에 대한 배려(16)/리더십(15)
흥미현실형(Realistic)(66)/관습형(Conventional)(46)
직업가치관고용안정(66)/경제적 보상(66)/다양성(40)/인정(33)/애국(32)
업무활동 중요도전자장비 유지 보수(99)/기계장비 유지 보수(98)/기계장치 제어(94)/차량, 기계, 장비 작동(92)/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8)
업무활동 수준전자장비 유지 보수(98)/기계장비 유지 보수(96)/차량, 기계, 장비 작동(92)/기계장치 제어(92)/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6)
관련직업석유·천연가스제조제어장치조작원
직무개요
  • 산업용 기초 화합물 및 중간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파쇄, 가열, 혼합, 증류 또는 여과 화학물을 가공하는 기기를 조작하고, 플라스틱, 고무, 화학섬유 등의 제품 제조를 위한 원료 생산기기를 조작한다.

수행직무
  • 고형 화학물 및 기타 재료를 파쇄하고 혼합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 재료를 정화·혼합 또는 합성하고 특수한 성질로 만들거나 화학변화를 일으키는 기계장비를 조작한다.
  • 화학물 및 관련 재료의 가공을 위해 건조기를 조작한다.
  • 용액을 여과하는 장치 및 분리시키는 기계를 조작한다.
  • 천연 액체성 화학물을 화학적·성분별로 분리 또는 정제하는 증류기를 조작한다.
  • 화학약품 및 기타 첨가제를 석유와 혼합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 생산기록을 작성하고 보관한다.
  • 장치설비의 이상유무 확인, 간단한 문제 발생시 필요한 조치 활동을 한다.
  • 생산제품의 1차 품질검사 업무를 수행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화학물가공장치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2.2%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화학물가공장치조작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2015년 화학물가공장치조작원 취업자수는 24천명으로 향후 5년(2015-2020) 및 향후 10년(2015-2025) 동안에도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 2014년 말부터 본격화된 유가하락에 따른 상대적 경쟁력 상승은 긍정적이나 국내인건비 상승 및 물류비용 증가로 생산설비를 해외로 이전하거나 자동화를 추진하는 경향이 나타나 일자리 증가에 부정적이다.
  • 또한 중국의 화학제품에 대한 자급률이 증가하고 중국 자체의 경제성장이 둔화되면서 시장감소로 이어져 우리나라의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고 고용에 부정적으로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33%
    유지 17%
    다소 감소 43%
    감소 7%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