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제품생산기계조작원(고무·플라스틱 제외)
요약
하는일 | 석유화학제품 및 기타 화학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중앙조정실조작원의 신호에 따라 각 공정(증류·정제·중합반응·흡수 등)의 장치 및 장비를 조작·관리한다. |
---|---|
되는길 | 화학제품생산기계조작원으로 일하려면 고교나 전문대 이상의 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각 제조사에 취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입사한 후 일정 기간에 해당하는 수습기간을 거쳐 조립이나 검사 분야에 관련된 제반업무를 익힌 다음 각사의 인력 운용상황에 따라 실무부서에 배치된다. 화학제품생산기조작원은 자신의 업무와 관련된 공정을 숙지하여야 하며 새로운 기계나 공법에 관한 신기술 습득 등 능력을 꾸준히 배양해야 한다. 화공과 관련된 자격증을 소지할 경우 취업에 유리하며, 환경 및 안전에 대한 관심 고조로 산업안전, 소방설비, 가스 등의 안전관리자격증이나 대기환경, 수질환경, 폐기물처리 등의 환경 분야 자격증도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들은 주로 화학제품을 제조하는 모든 기업체 또는 관련 업체에서 근무한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화공기사, 산업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000만원, 평균(50%) 3695만원, 상위(25%) 4276만원 |
만족도 | 65.2 |
일자리전망 | 증가(7%) 현상유지(37%) 감소(56%) |
업무수행능력 | 유연성 및 균형(96)/반응시간과 속도(96)/품질관리분석(95)/설치(93)/고장의 발견.수리(93) |
지식 | 화학(99)/상품 제조 및 공정(96)/기계(85)/안전과 보안(76)/물리(71) |
업무환경 | 위험한 상태 노출(100)/오염물질 노출(98)/소음 노출(97)/보호장비 착용(96)/위험한 장비 노출(93) |
성격 | 분석적 사고(30)/타인에 대한 배려(20)/독립성(18)/협조(17)/사회성(13) |
흥미 | 현실형(Realistic)(66)/관습형(Conventional)(32) |
직업가치관 | 애국(59)/고용안정(52)/경제적 보상(44)/개인지향(43)/자율(36) |
업무활동 중요도 | 전자장비 유지 보수(90)/기계장비 유지 보수(90)/기계장치 제어(87)/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7)/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4) |
업무활동 수준 | 전자장비 유지 보수(92)/기계장비 유지 보수(90)/일반적인 신체활동(90)/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9)/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7) |
관련직업 | 타이어·고무제품생산기계조작원 플라스틱제품생산기계조작원 고무·플라스틱 제품 조립원 |
직무개요
- 석유화학제품 및 기타 화학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중앙조정실조작원의 신호에 따라 각 공정(증류·정제·중합반응·흡수 등)의 장치 및 장비를 조작·관리한다.
수행직무
- 중앙조정실조작원과 무전기 등으로 연락을 유지하면서 공장의 각종 공정을 순회하고 고장, 누설 등 이상작동 요소를 점검한다.
- 이상 발견 시 중앙조정실조작원에게 신속히 연락하여 초지를 취한다.
- 중앙조정실조작원으로부터 설비 및 장치의 이상을 파악하라는 지시를 받으면 수동공구를 이용해 밸브를 열거나 닫는 등의 조치를 취한다.
- 중간검사를 위하여 시료채취밸브를 열고 시료를 채취한다.
- 펌프, 압축기, 송풍기와 같은 장비를 작동·정지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000만원 |
3695만원 |
4276 만원 |
직업만족도
- 화학제품생산기계조작원(고무·플라스틱 제외)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5.2%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화학제품생산기계조작원(고무·플라스틱 제외)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화학제품의 경우 유가하락에 따른 상대적 경쟁력 상승이 있었으나, 국내인건비 상승 및 물류비용 증가로 생산설비를 해외로 이전하거나 자동화를 추진하는 경향이 나타나 일자리 증가에 부정적이다.
- 또한 중국의 화학제품에 대한 자급률이 증가하고 중국 자체의 경제성장이 둔화되면서 시장감소로 이어져 우리나라의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고 고용에 부정적으로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