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제조기계조작원
요약
하는일 | 섬유제조를 위하여 방적기, 합사기, 연사기 및 권사기를 조작한다. |
---|---|
되는길 | 섬유제조기계조작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계 고등학교나 직업훈련기관에서 관련 학과를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자격증이 꼭 필요하지는 않으나 섬유 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취업 시 우대받을 수 있다. 섬유제조기계조작원은 대부분 채용 후 사내 직무교육을 받거나 숙련자를 보조하면서 기능을 습득한다. 기본적으로 학력에 구애받지 않으나 해외에서 들여온 기계를 조작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영어나 그 외 관련된 언어습득이 필요하다. 이들은 섬유제품 제조업체에서 근무한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방사기술사(국가기술) 섬유공정기술사(국가기술) 섬유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의류기사, 기술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901만원, 평균(50%) 3300만원, 상위(25%) 3713만원 |
만족도 | 54.8 |
일자리전망 | 증가(0%) 현상유지(17%) 감소(83%) |
업무수행능력 | 고장의 발견.수리(89)/움직임 통제(89)/작동 점검(89)/조작 및 통제(88)/반응시간과 속도(81) |
지식 | 상품 제조 및 공정(97)/기계(91)/안전과 보안(69)/공학과 기술(55)/화학(46) |
업무환경 | 비좁은 업무 공간(100)/소음 노출(99)/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9)/위험한 장비 노출(98)/온몸 진동 노출(98) |
성격 | 인내(53)/신뢰성(48)/사회성(47)/타인에 대한 배려(43)/성취/노력(39) |
흥미 | 탐구형(Investigative)(57)/예술형(Artistic)(44) |
직업가치관 | 애국(17)/개인지향(7)/신체활동(6)/고용안정(5)/심신의 안녕(4) |
업무활동 중요도 | 기계장치 제어(97)/물건 조종, 운반(95)/일반적인 신체활동(88)/차량, 기계, 장비 작동(88)/기계장비 유지 보수(87) |
업무활동 수준 | 기계장치 제어(96)/차량, 기계, 장비 작동(93)/물건 조종, 운반(92)/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8)/일반적인 신체활동(88) |
관련직업 | 직조기 및 편직기조작원 표백·염색기조작원 |
직무개요
- 섬유제조를 위하여 방적기, 합사기, 연사기 및 권사기를 조작한다.
수행직무
- 섬유에 일정한 혼합물을 결합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 천연섬유를 청결히 하고 솜털같이 하며, 소모를 소모뭉치로 또는 소모뭉치를 리본뭉치로 결합하고, 규정의 품질과 무게를 가진 하나의 가늘게 만든 가닥으로 몇 개의 소모를 결합하는 즉 방적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 슬라이버(면 섬유의 다발)를 로빙(거친 실 단위)으로 전환하는 조방기 또는 정방기를 조작한다.
- 로빙으로부터 연사)와 방사를 방적하고, 실꾸리에 두 가닥 이상의 연사를 감고 두 가닥 이상의 방사나 연사를 한 가닥보다 무겁고 강한 가닥으로 꼬거나 한 타래에서 다른 타래로 방사나 연사를 권사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2901만원 |
3300만원 |
3713 만원 |
직업만족도
- 섬유제조기계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4.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섬유제조기계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섬유산업은 과거에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을 주도해왔으나 지속적인 인건비 상승, 생산비 증대, 생산설비 과잉 등으로 인해 섬유산업 전반은 쇠락을 길을 걷고 있으며, 국제경쟁력이 약화됨에 따라 수출도 감소세에 있다.
- 이러한 섬유산업의 불황과 함께 대기업을 중심으로 인건비가 저렴한 해외로의 공장이전이 이뤄지고 있어 섬유 산업 전반의 고용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하지만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필수적인 의복보다는 패션으로서의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 섬유제품 제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관련 산업이 정체되었음을 알 수 있다.
- 국내의 섬유제조업체들은 생산시설과 공장시스템을 무인 자동화하여 소수의 인력으로 제품생산이 가능한 체제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 관련 인력 수요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 또한, 국내 인건비가 상승에 따라 인건비가 싼 중국이나 베트남 등으로 생산 공장을 이전하고 있는 것도 국내 고용에 부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 이러한 생산설비의 자동화, 대형화, 생산라인의 해외이전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이 분야의 인력 수요 하락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
- 또한, 정부가 인건비 상승과 인력 확보의 어려움 해소를 위해 201~300인 사업장은 외국인 근로자를 36명까지 채용할 수 있도록 했는데 이 역시 국내 섬유제조기계조작원의 인력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