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턴사

요약
하는일의류의 디자인스케치를 보고 패턴제작법을 이용하여 패턴을 제작한다.
되는길패턴사가 되기 위해서는 고졸 이상의 학력으로 특별한 자격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패턴사로 활동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오랜 실무경험이다.
이를 위해 많은 이들이 현장에서 배우면서 일하기 위해 숙련 패턴사의 보조로 들어가 패턴의 기초부터 습득하여 경력을 쌓는다.
패턴을 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이나 봉제 등의 모든 의류제조관련업무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일반회사의 샘플실이나 의류생산 공장에서 실무경험을 쌓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전문대학 이상의 의상관련학과를 전공하거나, 사설학원이나 직업전문학교에서 패턴의 기본적인 과정이나 양복, 양장, 한복 훈련과정을 수료하면 취업에 유리하다.
패턴사의 보조로 입직하여 실무경험을 쌓게 되면 패턴실장으로의 승진이 가능하다.
패턴사는 단순히 의상디자이너들의 지시에 따라 견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디자이너와 상호보완적으로 한 팀이 되어 하나의 의상을 만든다.
이들은 디자이너 못지않은 예술적인 감각과 오랜 실무 경험에서 나오는 패턴기술로 인정받게 된다.
패턴사는 신체치수에 따른 옷본을 정확하게 제작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디자이너가 의도하는 바대로 디자인의 특징을 살려 패턴을 할 수 있는 감각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서로 협력해야 하므로 원만한 대인관계가 필요하며 손재주와 기계를 잘 다루면 업무수행에 있어 도움이 될 것이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양복기능사(국가기술)
양장기능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108만원, 평균(50%) 3500만원, 상위(25%) 3851만원
만족도63
일자리전망증가(0%) 현상유지(20%) 감소(80%)
업무수행능력정교한 동작(87)/창의력(66)/움직임 통제(52)/시력(50)/유연성 및 균형(46)
지식디자인(100)/상품 제조 및 공정(89)/예술(79)/산수와 수학(55)/철학과 신학(42)
업무환경정확성, 정밀성 유지(94)/마감시간(90)/자동화 정도(87)/실수의 심각성(79)/사람들과 직접 접촉(75)
성격꼼꼼함(67)/독립성(50)/적응성/융통성(31)/스트레스 감내성(28)/혁신(26)
흥미예술형(Artistic)(88)/현실형(Realistic)(63)
직업가치관개인지향(70)/심신의 안녕(67)/다양성(60)/신체활동(47)/인정(39)
업무활동 중요도창조적 생각(76)/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51)/물건 조종, 운반(49)/일반적인 신체활동(45)/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45)
업무활동 수준창조적 생각(72)/일반적인 신체활동(54)/물건 조종, 운반(54)/정보 수집(47)/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47)
관련직업재단사
재봉사
직무개요
  • 의류의 디자인스케치를 보고 패턴제작법을 이용하여 패턴을 제작한다.

수행직무
  • 작업지시서의 디자인을 따르거나 제품별로 요척(옷을 만드는데 필요한 원단의 최소 야드 수)을 계산하여 패턴모형을 종이에 그린다.
  • 컴퓨터 캐드를 이용해 패턴모형을 그리기도 한다.
  • 원단 재질의 축소 여부를 확인하고 패턴제작에 반영한다.
  • 가위나 칼로 패턴을 재단한다.
  • 패턴모형에 치수와 모양 등의 내용을 명시한다.
  • 체형이나 크기에 따라서 다른 규격의 패턴을 그리는 그레이딩(grading) 작업을 하기도 한다.
  • 패턴모형과 시제품을 비교하여 패턴을 수정보완하고 의복재단사에게 넘긴다.
  • 완성된 제품에 결점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3108만원

3500만원

3851 만원

직업만족도
  • 패턴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패턴사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의류업계는 경기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 과거 20여 년간 국내 패션시장은 성장기에 있었으나 이제 저성장 시대로 진입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 장기적인 경기 침체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의류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해외브랜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해외 브랜드의 국내 진출이 크게 늘었다.
  • 의류업체 간의 과도한 경쟁과 중국, 베트남 등 저원가 생산국이 국내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섬유를 많이 수출하는 나라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한국에서는 외국과는 달리 패턴사의 인식이 그 중요도에 비해 그리 높지 않은 편이다.
  • 또한 의상업계는 예전에 비해 패턴사의 인원을 많이 감축시켜 최소한의 인원으로 패턴실을 운영하고 있고, 패턴업무를 패턴전문업체에 의뢰하거나 임금이 싼 중국 등에 하청을 주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 컴퓨터가 발달되면서 패턴분야도 많은 부분이 전산화되고 있다.
  • 최근에는 컴퓨터가 완성패턴 데이터를 풍부하게 갖추고 있어 이 중 하나의 스타일을 택해 신체치수만 입력하면 패턴제작이 되는 패턴캐드까지 등장하고 있어 패턴사의 고용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0%
    유지 20%
    다소 감소 57%
    감소 2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