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기계조작원
요약
하는일 |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 등에 다양한 무늬와 색깔을 인쇄 또는 압착하는 장비를 조작·관리한다. |
---|---|
되는길 | 인쇄기조작원이 되는 데 학력 제한은 없지만 공업계 고등학교나 전문대의 출판디자인과, 인쇄정보공학과, 인쇄미디어학과, 미디어출판과, 전자출판인쇄전공, 등의 학과를 나오면 취업에 유리하다. 관련자격으로 인쇄산업기사, 인쇄기능사, 전자출판기능사 자격이 있다. 이들은 주로 인쇄업체와 신문사에서 근무한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인쇄기능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전자출판기능사(국가기술) 제판산업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797만원, 평균(50%) 3307.6만원, 상위(25%) 3937만원 |
만족도 | 61.8 |
일자리전망 | 증가(7%) 현상유지(13%) 감소(80%) |
업무수행능력 | 장비 선정(89)/고장의 발견.수리(88)/작동 점검(88)/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83)/반응시간과 속도(82) |
지식 | 디자인(89)/기계(84)/상품 제조 및 공정(79)/영업과 마케팅(73)/공학과 기술(71) |
업무환경 | 위험한 장비 노출(100)/소음 노출(99)/치열한 경쟁(99)/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9)/비좁은 업무 공간(98) |
성격 | 꼼꼼함(71)/인내(64)/신뢰성(61)/스트레스 감내성(61)/정직성(61) |
흥미 | 현실형(Realistic)(98)/탐구형(Investigative)(45) |
직업가치관 | 개인지향(21)/신체활동(15)/인정(15)/자율(14)/이타(11) |
업무활동 중요도 | 기계장비 유지 보수(95)/기계장치 제어(88)/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7)/물건 조종, 운반(82)/일반적인 신체활동(77) |
업무활동 수준 | 기계장비 유지 보수(91)/기계장치 제어(86)/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0)/차량, 기계, 장비 작동(80)/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78) |
관련직업 | 사진인화·현상기조작원(사진수정 포함) |
직무개요
-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 등에 다양한 무늬와 색깔을 인쇄 또는 압착하는 장비를 조작·관리한다.
수행직무
- 작업지시서에 따라 호이스트를 사용하여 인쇄할 모양의 무늬롤을 인쇄기의 샤프트에 걸어 끼운다.
- 무늬롤과 잉크, 주걱칼의 간격을 조절한다.
- 인쇄할 필름이나 시트를 호이스트 등을 사용하여 샤프트의 받침대에 걸어 놓는다.
- 스팀밸브를 열어 압력게이지를 확인하여 인쇄기 오븐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 잉크 및 광택제를 작업지시서에 지시된 혼합비율대로 혼합하여 인쇄기의 잉크 받침통에 붓는다.
- 작동 버튼을 눌러 롤을 회전시킨다.
- 인쇄할 시트 또는 필름의 끝에 끈을 붙여 무늬롤의 밑 부분으로부터 상부가이드 롤을 거쳐 건조오븐 안으로 끈을 당겨 권취기에 감는다.
- 하부에 설치된 고무롤에 잉크가 묻지 않도록 용제가 묻은 걸레를 사용하여 고무롤을 수시로 닦는다.
- 건조오븐을 통하여 권취되는 제품의 색상·무늬 등을 확인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인쇄기계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1.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인쇄기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 인터넷의 발전과 디지털기술의 확산에 따라 인쇄기조작원의 고용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 미디어 매체의 변화는 최근 스마트폰 보급을 통해 오프라인 인쇄물을 대체하고 있다.
- 기업체 광고, 홍보물이나 포스터 등도 인터넷이나 모바일폰을 통해 상당부분 대체되고 특히 교과서, 잡지, 신문, 서적 등의 인쇄물도 점차 줄고 있다.
- 조판, 제판 등을 컴퓨터로 하는 전자출판이 보편화고 되고 디지털기기의 확대로 인쇄공정이 단축되면서 이전만큼 인력이 필요로 하지 않고 있다.
- 코팅, 제본 등의 과정에서도 기계와 설비의 자동화로 인쇄기조작원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그럼에도 인쇄는 각종 제품의 포장과 라벨제작에 사용되고 모바일 폰 등 정보통신기기조차도 인쇄작업이 필요하여 인쇄기조작원의 고용 감소가 급격히 진행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즉, 기존 전통적인 인쇄 산업에서 고용은 감소하고 새로운 영역인 인쇄전자 등에서 성장이 주목된다.
- (*인쇄전자란 진공증착 및 노광공정을 바탕으로 지금까지의 전통적 제조방식과 달리 필름 또는 섬유소재 등에 전도성 전자잉크를 분사하여 인쇄하듯이 전자회로를 제조하는 기술을 말한다)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