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운송사무원
요약
하는일 | 선박 사업체에서 운항계획, 배선계획 등을 수립하기 위하여 선박의 동정, 하역상황, 운항비용, 하역비 등을 검토·분석하고, 운항일정, 운항노선 등의 확장 또는 단축에 관한 자료를 작성한다. |
---|---|
되는길 | 보통 소규모업체나 중소기업체에서 일하는 수상운송사무원에게는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며, 대기업의 경우 관련 분야 대졸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는 편이다. 담당하는 업무에 따라 교육수준과 필요한 지식이 다르지만, 유통, 경영, 경제, 법, 회계, 행정 관련 학과를 전공하면 취업에 유리하다. 수상운송사무원이 되기 위한 특별한 자격증은 없지만, 인터넷 활용능력과 컴퓨터를 활용한 문서작성능력이 필수적이다. 취업을 하면 일정 기간의 교육훈련과 현장견습이 필요하다. |
전공 | 경영학과 경제학과 산업공학과 해양공학과 행정학과 |
자격 | 물류관리사(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000만원, 평균(50%) 3300만원, 상위(25%) 3730만원 |
만족도 | 65.7 |
일자리전망 | 증가(13%) 현상유지(40%) 감소(47%) |
업무수행능력 | 전산(94)/수리력(75)/글쓰기(67)/듣고 이해하기(63)/추리력(62) |
지식 | 운송(99)/경제와 회계(94)/사무(91)/지리(90)/인사(85) |
업무환경 | 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4)/주말 및 공휴일 근무(90)/전화 대화하기(84)/공문, 문서 주고받기(79)/외부 고객 대하기(77) |
성격 | 정직성(70)/스트레스 감내성(68)/분석적 사고(65)/꼼꼼함(64)/적응성/융통성(60)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60)/진취형(Enterprising)(53) |
직업가치관 | 신체활동(84)/고용안정(69)/심신의 안녕(67)/애국(53)/지적 추구(29) |
업무활동 중요도 | 행정, 관리 업무(93)/컴퓨터 업무(89)/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89)/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78)/정보 작성, 기록(75) |
업무활동 수준 | 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91)/컴퓨터 업무(87)/행정, 관리 업무(84)/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78)/상사, 동료, 부하직원과 소통(71) |
관련직업 | 무역사무원 도로운송사무원 철도·지하철운송사무원 항공운송사무원 자재·구매사무원 물류사무원 생산관리사무원 품질관리사무원 |
직무개요
- 선박 사업체에서 운항계획, 배선계획 등을 수립하기 위하여 선박의 동정, 하역상황, 운항비용, 하역비 등을 검토·분석하고, 운항일정, 운항노선 등의 확장 또는 단축에 관한 자료를 작성한다.
수행직무
- 선박 사업체에서 운항계획, 배선계획 등을 수립한다.
- 선박의 동정, 하역상황, 운항비용, 하역비 등을 검토, 분석한다.
- 운항일정, 운항노선 등의 확장 또는 단축에 관한 자료를 작성한다.
- 여객선의 안전운항을 위하여 항만에의 여객선의 입·출항을 통제한다.
- 선원에 대한 운항관리 규정을 교육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000만원 |
3300만원 |
3730 만원 |
직업만족도
- 수상운송사무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5.7%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수상운송사무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해안 도서지방의 교통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가까운 중국이나 일본에 오갈 때 항공편보다 요금이 저렴한 선박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 국내여객의 선박수송인원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제여객의 선박수송인원도 증가하였다.
- 꾸준한 항로 개척과 취항선박 수의 증가로 선박운항은 그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수상운송사무원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그러나 전산화 시스템의 확대는 운송사무원의 일자리 창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인건비가 싼 중국, 동남아에 전산 허브를 구축하면서부터 한국 내 단순 해운사무직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 향후 유가급등과 세계 경기침체가 지속된다면 이 분야의 고용은 더욱 힘들어질 것이다.
- 고용 증감 요인이 비슷하게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