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조립원
요약
하는일 | [가구부품조립원] -접착제를 사용하여 가조립된 가구 부품에 프레스기로 압력을 가하여 조립한다. [가구부품가공원] -가구 부품의 홈, 상하 에지(edge) 처리 등 가구 조립에 필요한 각종 자재를 제품 사양에 맞게 가공한다. |
---|---|
되는길 | 가구조립원이 되기위해서 특별한 자격을 요하지 않는다. 통상 고졸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며 신입의 경우 자격 무관하며 경력자는 취업에 유리하다. 주로 가구제조업체에서 근무하여 교대제로 근무한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가구제작기능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774만원, 평균(50%) 3200만원, 상위(25%) 3678만원 |
만족도 | 60.5 |
일자리전망 | 증가(17%) 현상유지(40%) 감소(43%) |
업무수행능력 | 설치(91)/움직임 통제(90)/신체적 강인성(89)/정교한 동작(88)/장비 선정(87) |
지식 | 상품 제조 및 공정(97)/디자인(92)/기계(86)/공학과 기술(79)/건축 및 설계(68) |
업무환경 | 온몸 진동 노출(100)/위험한 장비 노출(100)/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9)/오염물질 노출(99)/소음 노출(99) |
성격 | 성취/노력(61)/꼼꼼함(60)/인내(57)/정직성(46)/책임과 진취성(37) |
흥미 | 현실형(Realistic)(79)/관습형(Conventional)(54) |
직업가치관 | 고용안정(55)/심신의 안녕(38)/신체활동(33)/자율(26)/개인지향(21) |
업무활동 중요도 | 물건 조종, 운반(96)/일반적인 신체활동(94)/차량, 기계, 장비 작동(87)/기계장비 유지 보수(87)/기계장치 제어(86) |
업무활동 수준 | 물건 조종, 운반(96)/일반적인 신체활동(95)/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1)/차량, 기계, 장비 작동(89)/기계장치 제어(88) |
관련직업 | 가구제조·수리원 |
직무개요
- [가구부품조립원] -접착제를 사용하여 가조립된 가구 부품에 프레스기로 압력을 가하여 조립한다. [가구부품가공원] -가구 부품의 홈, 상하 에지(edge) 처리 등 가구 조립에 필요한 각종 자재를 제품 사양에 맞게 가공한다.
수행직무
- 조립할 목재의 규격을 검사하고 조립부분의 먼지나 오물을 제거한다.
- 기계의 작동상태 및 압력을 조절하고 제품이 기계에 투입되는 간격을 조정한다.
- 가조립된 제품을 프레스기 위에 올려 가압 위치에 고정한 후 접착제 펌핑(pumping) 작업을 실행한다.
- 접착 및 조립된 제품의 규격이나 접착상태를 점검한다.
- 자동접착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수작업으로 접착하기도 한다. [가구부품가공원]
- 작업지시서에 명시되어 있는 제품의 규격, 수량, 색상 등을 확인한다.
- 가공할 홈(구멍), 상하 에지(edge)등 초품 가공을 위하여 자동 가공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 부품의 전·후면을 검사한 후 가공장비에 투입하고 제품의 홈을 가공한다.
- 홈에 이음쇠를 부착하여 부품을 연결한다.
- 가공된 자재를 뒤집어서 에지를 접착하고 이상 유무를 검사한 후 적재한다.
- 시험 가공된 초품에 이상이 없으면 모든 자재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가공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2774만원 |
3200만원 |
3678 만원 |
직업만족도
- 가구조립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0.5%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가구조립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인건비 상승과 관세(완제품인 경우 관세가 없으나 재료 수입시 세금 부과)영향으로 가구제조업체는 주로 OEM 이나 수입, 유통 등으로 전환하거나 외국에서 완제품을 들여오고 있다.
- 즉, 국내 생산 기반이 매우 취약해지고 있다.
- 가구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건설업경기, 혼인건수, 이사건수 등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그럼에도 노후화된 주택이 늘면서 리모델링사업이 증가하고 홈퍼니싱, 소품 등 인테리어에 소비자의 관심도 많아지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전반적인 고용감소를 상쇄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