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금속·보석세공원

요약
하는일[귀금속세공원] -금·은 등의 귀금속을 손이나 동력공구로 세공하여 목걸이·반지 등을 제작한다.
되는길귀금속 및 보석세공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학력이나 자격은 없다.
그러나 전문적으로 귀금속 및 보석가공 기술을 배우려면 귀금속 관련 학과에서 공부할 수있다.
전문대학 및 대학의 귀금속공예과, 보석가공과 등 관련 학과가 있으며 특성화고등학교인 “한국주얼리고등학교” 에 입학하여 진출하는 길도 있다.
또는 귀금속 가공(세공)과 관련한 사설교육기관에서 실무 위주의 교육을 받고 취업을 할 수도 있다.
이들은 금은세공업체, 귀금속가공업체, 장신구류제조업체 및 판매업체, 귀금속제품 판매업체 등에서 활동한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귀금속가공기능사, 산업기사, 기능장(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056만원, 평균(50%) 3626만원, 상위(25%) 4455만원
만족도68.9
일자리전망증가(0%) 현상유지(53%) 감소(46%)
업무수행능력시력(100)/정교한 동작(98)/선택적 집중력(92)/창의력(89)/기술 설계(86)
지식디자인(99)/상품 제조 및 공정(98)/공학과 기술(88)/예술(72)/기계(59)
업무환경균형을 유지하기(99)/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98)/소음 노출(98)/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4)/위험한 장비 노출(93)
성격스트레스 감내성(94)/인내(90)/자기통제(84)/적응성/융통성(83)/정직성(81)
흥미예술형(Artistic)(96)/현실형(Realistic)(63)
직업가치관개인지향(91)/신체활동(74)/심신의 안녕(64)/자율(54)/다양성(40)
업무활동 중요도창조적 생각(94)/전자장비 유지 보수(81)/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1)/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0)/자원 관리(79)
업무활동 수준창조적 생각(92)/전자장비 유지 보수(83)/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0)/기계장비 유지 보수(78)/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78)
관련직업공예원
직무개요
  • [귀금속세공원] -금·은 등의 귀금속을 손이나 동력공구로 세공하여 목걸이·반지 등을 제작한다.

수행직무
  • 작업명세서를 확인하여 제품별 디자인, 재료 등을 점검한다.
  • 작업에 필요한 공구를 준비한다.
  • 세공할 모양·형태에 따라 금·은 등의 귀금속 재료를 저울로 계량한다.
  • 망치·줄 등 수공구를 사용하여 귀금속 재료를 펴고 구부린다.
  • 동력공구를 사용하여 구멍을 뚫거나 잘라내어 성형한다.
  • 땜질용 토치를 사용하여 귀금속을 달구어 땜질한다.
  • 땜질된 이음매와 거친 곳을 손줄과 금강사 사포를 사용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3056만원

3626만원

4455 만원

직업만족도
  • 귀금속·보석세공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8.9%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귀금속 및 보석세공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귀금속 및 보석은 여전히 호화사치품으로 여겨져 정부가 개별소비세(개별소비세는 특정한 물품, 특정한 장소에 입장 행위, 특정장소에서 유흥음식 행위 및 특정한 장소에서의 영업행위에 부과되는 소비세를 의미한다.
  • )를 부과하는 등 소비가 억제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 거기에 그간 기계화와 자동화가 꾸준히 이루어졌고 최근 CAD프로그램 활용과 3D프린터 등의 사용이 점점 확대될 것으로 보여 고용에 부정적이다.
  • 더욱이 중국과의 FTA체결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약화되어 국내업체의 생산시설 이전의 가능성도 보인다.
  • 그럼에도 주얼리 산업구조가 캐스팅에 의한대량생산에서 디자인 중심의 다품종소량생산으로 변화되면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핸드메이드 기능인력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으며 주얼리를 하나의 문화상품으로 여겨지는 추세도 강화되고 있어 일자리 확대가 기대된다.
  •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에 의하면 귀금속 및 장식용품 사업체 수는 2010년까지 감소하였다가 지난 4년(2010~2014년)다시 증가하고 있고 종사자 수는 2008년에 7,844명이던 것이 2012년에는 8,507명, 2014년에는 9,695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고용증가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더욱이 저임금과 열악한 작업환경 등으로 청년층의 입직 기피 현상까지 발생하여 양질의 인력수급이 어려울 것으로 보여 개선이 요구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0%
    유지 53%
    다소 감소 43%
    감소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