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사무원
요약
하는일 | 화물의 유통 촉진과 물류비의 절감을 위해서 물류센터의 운영, 물류관리에 필요한 직무를 수행한다. |
---|---|
되는길 | 물류사무원이 되기 위해서는 경제학, 경영학, 무역학, 물류학, 산업공학 등 관련 분야의 전문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물류관리, 물류시스템, 물류관련 법규, 화물운송, 해운운송, 항공운송, 보관하역 등 물류 전반에 대한 이론적 배경지식이 있어야 하며 물류현장과 시장을 꿰뚫어보는 능력이 필요하다. 특히 이론적 지식뿐 아니라 물류현장의 상황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관련 업체나 물류창고, 화물터미널 등 물류현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물류사무원은 물류운영현장에 대한 이해가 피룡하므로, 기업에서는 관련 인력을 채용한 후 일정 기간 현장 근무를 시키기도 한다. 이 밖에 한국물류협회나 기업부설물류연구소 등에서 물류관리 인력을 위한 전문교육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물류 관련 분야는 국내보다 국외에서 훨씬 발달되어 있어 외국 자료를 접할 일이 많으므로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 실력을 쌓아놓는 것이 필요하다. |
전공 | 경영학과 무역·유통학과 산업공학과 지상교통공학과 |
자격 | ERP정보관리사[물류/생산/인사/회계](국가공인 민간) 물류관리사(국가전문) 유통관리사(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901만원, 평균(50%) 3305만원, 상위(25%) 3678만원 |
만족도 | 62.4 |
일자리전망 | 증가(56%) 현상유지(26%) 감소(16%) |
업무수행능력 | 전산(79)/수리력(76)/물적자원 관리(75)/품질관리분석(73)/시간 관리(71) |
지식 | 운송(98)/통신(91)/컴퓨터와 전자공학(91)/경영 및 행정(89)/경제와 회계(87) |
업무환경 | 마감시간(100)/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96)/전화 대화하기(90)/앉아서 근무(86)/다른 사람과의 접촉(83) |
성격 | 사회성(74)/독립성(60)/혁신(56)/성취/노력(51)/협조(50) |
흥미 | 진취형(Enterprising)(90)/관습형(Conventional)(77) |
직업가치관 | 신체활동(80)/심신의 안녕(79)/고용안정(58)/경제적 보상(54)/지적 추구(41) |
업무활동 중요도 | 자원 관리(79)/컴퓨터 업무(79)/행정, 관리 업무(78)/정보 작성, 기록(75)/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72) |
업무활동 수준 | 행정, 관리 업무(79)/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77)/컴퓨터 업무(76)/자원 관리(74)/정보의 의미 해석(68) |
관련직업 | 무역사무원 도로운송사무원 철도·지하철운송사무원 항공운송사무원 수상운송사무원 자재·구매사무원 생산관리사무원 품질관리사무원 |
직무개요
- 화물의 유통 촉진과 물류비의 절감을 위해서 물류센터의 운영, 물류관리에 필요한 직무를 수행한다.
수행직무
- 물류의 이동, 보관, 선적 등에 드는 시간 및 노동력을 철저히 파악하여 가장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이동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책임을 진다.
- 하역, 포장, 보관, 수송, 정보, 유통가공 등 물류와 관련한 모든 시스템을 통합 관리한다.
- 화물유통, 물류체계, 물류시설과 관련된 지식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다.
- 물류시설을 관리하고 상담, 자문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기업체의 물류비 등을 계산하고, 연구보고서 등 기타서류를 작성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2901만원 |
3305만원 |
3678 만원 |
직업만족도
- 물류사무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2.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물류사무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동북아 허브(hub : 중심지 )건설을 국가적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고, 그 일환으로 인천, 부산, 진해, 광양 등을 동북아 물류 중심항만으로 육성하고 있다.
- 일반 기업에서도 기업경영에서 물류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 단순히 제품을 공급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물류합리화를 통해 생산성 높은 물류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도록 전문 컨설턴트를 기용하는 기업도 있다.
- 또한 물류전담 부서 또는 물류연구소를 운영하는 경향도 늘어나고 있다.
- 따라서 향후 물류사무원의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 다만, 관련 인력에 대한 지원과 투자 증가로 향후 전문인력 배출이 증대되는 점은 입직경쟁을 치열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