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알선원
요약
하는일 | 직업소개소 등에서 구직자와 구인자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서로에게 적합한 대상자를 선정하여 소개한다. |
---|---|
되는길 | 취업알선원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자원봉사 활동 등으로 상담현장에서 경험을 많이 해보는 것이 유리하다. 각종 직업소개소의 경우는 회사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고졸 이상의 학력을 갖추면 취업할 수 있다. |
전공 | 교육학과 사회복지학과 심리학과 특수교육학과 |
자격 | 직업상담사 1, 2급(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901만원, 평균(50%) 3626만원, 상위(25%) 4300만원 |
만족도 | 62.2 |
일자리전망 | 증가(22%) 현상유지(29%) 감소(48%) |
업무수행능력 | 서비스 지향(89)/인적자원 관리(86)/행동조정(86)/협상(86)/모니터링(Monitoring)(85) |
지식 | 인사(100)/상담(99)/경제와 회계(89)/심리(82)/경영 및 행정(81) |
업무환경 | 사람들과 직접 접촉(90)/앉아서 근무(88)/마감시간(86)/치열한 경쟁(86)/다른 사람과의 접촉(77) |
성격 | 정직성(93)/사회성(89)/타인에 대한 배려(88)/스트레스 감내성(87)/꼼꼼함(84) |
흥미 | 진취형(Enterprising)(92)/사회형(Social)(91) |
직업가치관 | 이타(85)/신체활동(82)/고용안정(61)/인정(59)/애국(35)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7)/조직 외부인과 소통(94)/대인관계 유지(93)/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2)/사람들을 배려, 돌봄(92) |
업무활동 수준 | 대인관계 유지(94)/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4)/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90)/사람들을 배려, 돌봄(90)/인사 업무(87) |
관련직업 | 안내 및 접수사무원 고객상담원 의료코디네이터 통계사무원 비서 전산자료입력원 및 사무보조원 출판·자료편집사무원 속기사 행정사 |
직무개요
- 직업소개소 등에서 구직자와 구인자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서로에게 적합한 대상자를 선정하여 소개한다.
수행직무
- 구인 및 구직 신청을 접수하고 전산프로그램에 해당 내용을 입력한다.
- 구인자의 요청에 따라 구직자를 알선한다.
- 취업과 관련한 현황에 대해 설명한다.
- 취업관련 질의에 응답한다.
- 실업급여, 고용보험 등 각종 실업과 취업에 관련된 혜택에 대해 설명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2901만원 |
3626만원 |
4300 만원 |
직업만족도
- 취업알선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2.2%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취업알선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기업의 채용문화가 고졸채용, 열린채용, 직무중심채용 등으로 변화하면서 채용방식 변경에 따른 직업상담에 대한 수요가 구인자·구직자 측면에서 모두 증가하고 있다.
- 또한 베이비부머의 은퇴와 노인인구의 증가 등으로 은퇴 이후에도 취업을 원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외국이민여성 등 외국인력 유입, 청년 실업자 증가, 경력단절여성 등 취업 및 진로상담에 대한 요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의 필요성이 증대하여 직업상담사들이 진로상담이나 강의 등을 제공하는 사례도 있다.
- 또한, 시·군·구 산하 취업알선부서의 신설 및 강화, 여성·청소년·노인 등 취약계층 관련 단체에서의 취업지원부서 운영, 취업포털사이트, 각종 민간 직업안정기관 등도 증가하고 있어서 향후에도 구인자와 구직자를 연결해주는 취업알선원의 수요는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 그러나 인터넷의 확대 보급으로 취업알선원을 통하지 않고 온라인으로 구직을 하는 사람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 또한, 전문 자격을 갖춘 직업상담사가 집단상담이나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구직자들의 요구 파악부터 필요한 정보제공 및 상담, 알선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므로 알선업무만 하는 인력에 대한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6%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