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연구원

요약
하는일모든 형태의 생명체에 대하여 그 기원, 발달, 해부, 기능관계 및 기타 원리를 연구하며 의학, 농업 등의 분야에 실제 적용부분을 개발한다.
되는길생물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생물학과, 생물공학과 등 관련 학과의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 대학의 관련 학과에서는 주로 자연과학과 관련한 기초지식을 쌓는 학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고학년이 되면서 더욱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대학원 과정에서 자신이 관심 있는 세부 전공을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연구원이 되면 보통 석사 과정의 세부전공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학생 시절 다양한 연구에 참여하여 관련 논문을 저널에 제출하는 등 연구 경력을 쌓는 것이 필요하며, 연구보조원으로 일해보거나 일부 정부출연연구소에서 시행하고 있는 현장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하면 관련 기관의 입직 시 많은 도움이 된다.
전공생명과학과
자격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144만원, 평균(50%) 4834.6만원, 상위(25%) 5699만원
만족도75.3
일자리전망증가(63%) 현상유지(33%) 감소(3%)
업무수행능력재정 관리(100)/범주화(100)/학습전략(100)/행동조정(100)/시간 관리(99)
지식생물(100)/화학(98)/산수와 수학(88)/공학과 기술(86)/영어(86)
업무환경이메일 이용하기(91)/공문, 문서 주고받기(86)/앉아서 근무(85)/정확성, 정밀성 유지(82)/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82)
성격독립성(89)/정직성(84)/혁신(82)/분석적 사고(77)/리더십(77)
흥미탐구형(Investigative)(98)/관습형(Conventional)(41)
직업가치관심신의 안녕(82)/고용안정(77)/경제적 보상(69)/신체활동(69)/지적 추구(66)
업무활동 중요도사물, 행동, 사건 파악(97)/정보 수집(95)/정보 처리(91)/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86)/정보, 자료 분석(86)
업무활동 수준사물, 행동, 사건 파악(95)/정보 수집(94)/정보 처리(91)/정보 작성, 기록(88)/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87)
관련직업물리학연구원
화학연구원
수학·통계학연구원
지질학연구원
천문·기상학연구원
자연과학시험원
직무개요
  • 모든 형태의 생명체에 대하여 그 기원, 발달, 해부, 기능관계 및 기타 원리를 연구하며 의학, 농업 등의 분야에 실제 적용부분을 개발한다.
수행직무
  • 생명체의 기원, 발전, 구조, 분포, 환경, 상호관계 및 기타 생활방식에 대한 현지조사 및 실험실연구를 한다.
  • 표본을 수집·검사·분류·보관하고, 질병 및 기타 문제의 연구를 보조한다.
  • 통계학적 기술을 이용해서 획득된 자료를 조정·분석·평가하고, 의학,농업, 약품제조 등의 분야에 사용하기 위한 발견 및 추정사항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한다.
임금
행정부고위공무원 임금 정보
하위(25%) 중위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생물학연구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5.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 향후 5년간 생물학연구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생명과학연구원은 2015년 약 37.3천 명에서 2025년 약 42.3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5.0천 명(연평균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의 「사업체기초통계조사」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관련된 자연과학 연구개발업체의 수와 종사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사업체 수는 2010년 1,271개소에서 2015년 2,272개소로 44.1% 증가하였고, 이 분야의 종사자는 동 기간 36,522명에서 50,915명으로 약 28.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OECD는 ‘바이오경제 2030(The Bioeconomy to 2030 : Designing a Policy Agenda)’ 보고서에서 기후변화 및 고령화 등 인류난제를 극복하기 위한 핵심기술로서 생명공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보건·의료, 생물정보, 환경·에너지 등 타 기술과의 융합과 응용 분야가 확대되는 추세이며 바이오 관련 시장 규모도 점점 커져 2020년에는 생명공학 산업 규모가 1.7조 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미래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발전의 중심이 될 바이오 제약, 바이오 에너지, 뇌 과학 등 첨단 생명공학 기술개발과 바이오산업 육성에 국가적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는 지난 5년간 제2차 1단계 육성 계획의 성과를 점검하고 이후 5년(’12~’16)의 생명과학 도약을 위한 제2차 생명공학 육성 2단계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해왔다. 따라서 생명공학산업의 기반이 되는 각종 기초연구와 응용연구를 수행하는 생명과학연구원의 일자리도 향후 생명공학 산업의 성장과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줄기세포 연구, 뇌 연구 및 신약개발 관련한 인력이 집중적으로 많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자료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