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열/학과
  • 인문계열 / 문화·민속·미술사학과
학과 소개 개요
  • 문화인류학과 : 인류의 문화와 사회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지구상에 인간이 출현했을 때부터 현재까지의 인간에 대한 시대별 문화 및 사회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 이를 위해 사례연구, 참여관찰을 통한 현지조사와 비디오테이프 등의 각종 영상물 분석으로 문화를 탐구합니다.
  • 미술사학과 : 문화사의 한 분야로 미술품을 통해 역사를 재구성하고 이해하는 학문입니다.
  • 미술사의 연구분야는 크게 한국미술, 동양미술, 서양미술로 나뉘며, 학부에서는 이 세 분야를 모두 공부합니다.
  • 전반적인 미술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미술작품을 감상하고 분석하며, 국내외 미술작품에 대한 조사와 답사, 사진촬영기술, 논문작성 등과 같은 다양한 능력을 키우게 됩니다.
  • 문화재학과 : 인류가 남긴 유형의 문화유산을 연구하고 교육하는 학문으로 인류 유산을 보호하는데 필요한 여러 지식을 배웁니다.
  • 각종 문화재를 돌보는 전문가를 양성하며 보존과학, 화학, 재료학, 보조환경학 등 자연과학과 기술학에 바탕을 둔 이론과 실험, 실습을 교육합니다.
적성/흥미
  • 다양한 문화권의 역사, 생활양식, 언어, 예술 등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새로운 문화에 흥미가 있어야 합니다.
  • 사소한 부분까지도 놓치지 않고 주의 깊게 관찰하고 탐구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 문화재보존 관련학과의 경우 화학, 물리, 생물 등 자연과학 교과목에도 소질이 있으면 좋습니다.
관련학과
  • 문화인류학과, 미술사학과, 문화재보존학과, 고고미술사학과, 문화콘텐츠학과, 문화(학)과, 문화유적학과, 민속학과, 인류학과, 조형문화과, 한국문화전공
관련학과/주요 교과목
  • 문화인류학과
    · 입문과목 : 인류학개론, 종교문화론, 한국민속학, 형질인류학, 민족과 역사, 인류학사, 문화학의 이해, 문화기술지, 박물관학, 선사고고학, 문화와 인성 등
    · 심화과목 : 혼인과 가족, 종교와 문화, 언어와 문화, 문화변동론, 인류학 현지조사 및 실습, 고고학 현지조사 및 실습, 문화인류학의 역사, 역사인류학, 생태인류학, 정치인류학, 경제인류학, 현대문화인류학 이론, 현지 조사방법론, 역사고고학, 문화인류학과 현대사회 등 미술사학과.
    · 입문과목 : 한국미술사, 동양미술사, 서양미술사, 인도서역미술사, 일본미술사 등
    · 심화과목 : 서양고대 및 중세미술, 르네상스 및 바로크미술, 서양근대미술, 서양현대미술, 미술사방법론, 미술사강독, 동양도자사, 미술이론과 비평, 동양서예사, 한국조각사, 고고학조사연습 등 문화재학과
    · 입문과목 : 한국사사료강독, 박물관학개론, 화재실측의 기초, 문화재보존과학기초, 세계문화의 이해, 문화인류학개론, 한국고대미술사, 문화재학, 고고학 개론, 무기물보존기초, 문화재화학실습, 도토기보존연구, 유기물보존기초 등
    · 심화과목 : 금속유물보존처리, 한국고고학의 이해, 박물관전시수장환경론, 한국미술의 이해, 유럽고고학, 중국고고학, 한국금속공예사, 목제유물보존처리, 한국고문서의 이해, 유기문화재재료 연구, 야외고고학, 한국조각사, 문화재보존실습, 기록물보존연구, 문화재분석연습, 한국선·원사고고학, 문화재강독, 동양미술사, 고고학연구법, 한국중세미술사 등
취득 자격
  • 국가자격 : 박물관및미술관준학예사, 문화예술교육사
  • 민간자격 : 민속놀이지도사, 아동미술사지도사, 임상미술사, 재활미술사, 문화재감정평가사, 문화재지킴이지도사 등
관련직업
  • 학과 소개:혼인과 가족, 종교와 문화, 언어와 문화, 문화변동론, 인류학 현지조사 및 실습, 고고학 현지조사 및 실습, 문화인류학의 역사, 역사인류학, 생태인류학, 정치인류학, 경제인류학, 현대문화인류학 이론, 현지 조사방법론, 역사고고학, 문화인류학과 현대사회 등 미술사학과. ‡ 입문과목 : 한국미술사, 동양미술사, 서양미술사, 인도서역미술사, 일본미술사 등
  • 기초과목 : 서양고대 및 중세미술, 르네상스 및 바로크미술, 서양근대미술, 서양현대미술, 미술사방법론, 미술사강독, 동양도자사, 미술이론과 비평, 동양서예사, 한국조각사, 고고학조사연습 등 문화재학과 ‡ 입문과목 : 한국사사료강독, 박물관학개론, 화재실측의 기초, 문화재보존과학기초, 세계문화의 이해, 문화인류학개론, 한국고대미술사, 문화재학, 고고학 개론, 무기물보존기초, 문화재화학실습, 도토기보존연구, 유기물보존기초 등
  • 심화과목 : 금속유물보존처리, 한국고고학의 이해, 박물관전시수장환경론, 한국미술의 이해, 유럽고고학, 중국고고학, 한국금속공예사, 목제유물보존처리, 한국고문서의 이해, 유기문화재재료 연구, 야외고고학, 한국조각사, 문화재보존실습, 기록물보존연구, 문화재분석연습, 한국선·원사고고학, 문화재강독, 동양미술사, 고고학연구법, 한국중세미술사 등
관련학과/교과목
대학학과명
강원대학교
https://www.kangwon.ac.kr/
문화인류학과
강원대학교
https://www.kangwon.ac.kr/
문화인류학전공
강원대학교
https://www.kangwon.ac.kr/
인류학과
상지대학교
https://www.sangji.ac.kr
문화콘텐츠학과
한림대학교
https://www.hallym.ac.kr
한류크리에이터공공외교융합전공
가톨릭대학교
https://www.catholic.ac.kr
글로벌인문경영융복합전공
가톨릭대학교
https://www.catholic.ac.kr
글로컬문화스토리텔링융복합전공
가톨릭대학교
https://www.catholic.ac.kr
문화콘텐츠전공
대진대학교
https://www.daejin.ac.kr
역사·문화콘텐츠학과
대진대학교
https://www.daejin.ac.kr
역사·문화콘텐츠학부
아주대학교
https://www.ajou.ac.kr
문화콘텐츠학과
용인대학교
https://www.yongin.ac.kr
문화재보존학과
용인대학교
https://www.yongin.ac.kr
문화재학과
용인대학교
https://www.yongin.ac.kr
문화콘텐츠학과
중앙승가대학교
https://admission.sangha.ac.kr
문화재학전공
칼빈대학교
https://www.calvin.ac.kr
글로벌문화산업경영학과
한신대학교
https://www.hs.ac.kr
디지털영상문화콘텐츠학과
한신대학교
https://www.hs.ac.kr
영상문화학전공
한신대학교
https://www.hs.ac.kr
인문콘텐츠학부
한신대학교
https://www.hs.ac.kr
한중문화콘텐츠학과
경남대학교
https://www.kyungnam.ac.kr
문화콘텐츠학과
영산대학교
https://www.ysu.ac.kr
문화콘텐츠학부
창원대학교
https://www.changwon.ac.kr
문화테크노학과
경일대학교
https://www.kiu.ac.kr
교육문화콘텐츠학과
경주대학교
https://www.gu.ac.kr
고고인류미술사학과
경주대학교
https://www.gu.ac.kr
문화재보존학과
경주대학교
https://www.gu.ac.kr
문화재보존학전공
경주대학교
https://www.gu.ac.kr
문화재학과
경주대학교
https://www.gu.ac.kr
문화재학부
경주대학교
https://www.gu.ac.kr
문화재학전공
대구가톨릭대학교
http://www.cu.ac.kr/
디자인문화콘텐츠전공
대구한의대학교
https://www.dhu.ac.kr
문화컨텐츠학부
대구한의대학교
https://www.dhu.ac.kr
문화학전공
대구한의대학교
https://www.dhu.ac.kr
콘텐츠기획전공
동양대학교
https://www.dyu.ac.kr
문화재발굴보존학과
동양대학교
https://www.dyu.ac.kr
문화재학과
안동대학교
https://www.andong.ac.kr
민속학과
영남대학교
https://www.yu.ac.kr
문화인류학과
전남대학교
http://www.jnu.ac.kr
문화인류고고학과
전남대학교
http://www.jnu.ac.kr
문화콘텐츠학부
전남대학교
http://www.jnu.ac.kr
인류학과
조선대학교
https://www.chosun.ac.kr
문화콘텐츠학부
경북대학교
https://www.knu.ac.kr
고고인류학과
계명대학교
https://www.kmu.ac.kr
한국문화정보학전공
대전대학교
https://www.dju.ac.kr
글로벌문화콘텐츠학전공
대전대학교
https://www.dju.ac.kr
글로컬문화학부
경성대학교
http://ks.ac.kr
글로컬문화학부
경성대학교
http://ks.ac.kr
문화기획학전공
경성대학교
http://ks.ac.kr
문화서비스학전공
경성대학교
http://ks.ac.kr
문화콘텐츠학전공
동명대학교
https://www.tu.ac.kr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동명대학교
https://www.tu.ac.kr
글로벌문화콘텐츠학부
동명대학교
https://www.tu.ac.kr
문화콘텐츠전공
동아대학교
https://www.donga.ac.kr
고고미술사학과
건국대학교
https://www.konkuk.ac.kr
문화정보학부
건국대학교
https://www.konkuk.ac.kr
문화콘텐츠학과
건국대학교
https://www.konkuk.ac.kr
문화콘텐츠학부
광운대학교
https://www.kw.ac.kr
문화콘텐츠개발전공
덕성여자대학교
https://www.duksung.ac.kr
문화인류학과
덕성여자대학교
https://www.duksung.ac.kr
문화인류학전공
덕성여자대학교
https://www.duksung.ac.kr
미술사학과
덕성여자대학교
https://www.duksung.ac.kr
미술사학전공
동국대학교
http://www.dongguk.edu
고고미술사학과
동국대학교
http://www.dongguk.edu
고고미술사학전공
동국대학교
http://www.dongguk.edu
미술사학과
동국대학교
http://www.dongguk.edu
인문콘텐츠학부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https://www.mju.ac.kr
미술사학과
상명대학교
https://www.smu.ac.kr
SW융합학부 한일문화콘텐츠전공
상명대학교
https://www.smu.ac.kr
문화예술경영학과
상명대학교
https://www.smu.ac.kr
인문콘텐츠학부 한일문화콘텐츠학과
서강대학교
https://www.sogang.ac.kr
교육문화전공
서경대학교
https://www.skuniv.ac.kr
문화콘텐츠학과(인문과학대학)
서울과학기술대학교
https://www.seoultech.ac.kr
문화예술학과
서울대학교
https://www.snu.ac.kr
고고미술사학과
서울대학교
https://www.snu.ac.kr
고고미술사학과 미술사학전공
서울대학교
https://www.snu.ac.kr
인류.지리학과군
서울대학교
https://www.snu.ac.kr
인류학과
서울여자대학교
https://www.swu.ac.kr
박물관학전공
성균관대학교
http://www.skku.edu
컬처앤테크놀로지융합전공
성신여자대학교
https://www.sungshin.ac.kr
문화예술경영학과
연세대학교
https://www.yonsei.ac.kr
문화・미디어전공
연세대학교
https://www.yonsei.ac.kr
문화인류학과
연세대학교
https://www.yonsei.ac.kr
한국문화・통상전공
연세대학교
https://www.yonsei.ac.kr
한국문화전공
이화여자대학교
https://www.ewha.ac.kr
융합콘텐츠학과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https://www.cau.ac.kr
아시아문화학부(비교민속학전공)
한성대학교
https://www.hansung.ac.kr
응용인문학부
한양대학교
https://www.hanyang.ac.kr
문화인류학과
한양대학교
https://www.hanyang.ac.kr
문화콘텐츠학과
홍익대학교
https://www.hongik.ac.kr/
융합전공 건축공간예술전공
홍익대학교
https://www.hongik.ac.kr/
융합전공 문화예술경영전공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https://sejong.korea.ac.kr
고고미술사학과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https://sejong.korea.ac.kr
고고미술사학전공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https://sejong.korea.ac.kr
문화ICT융합전공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https://sejong.korea.ac.kr
문화유산융합학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https://sejong.korea.ac.kr
문화콘텐츠전공
인천가톨릭대학교
https://www.iccu.ac.kr
문화콘텐츠학과
인하대학교
https://www.inha.ac.kr
문화콘텐츠문화경영학과
인하대학교
https://www.inha.ac.kr
문화콘텐츠학과
목포대학교
https://www.mokpo.ac.kr
고고문화인류학과
목포대학교
https://www.mokpo.ac.kr
문화인류학과
세한대학교
https://www.sehan.ac.kr
공간문화컨텐츠학과
세한대학교
https://www.sehan.ac.kr
조형문화과
군산대학교
https://www.kunsan.ac.kr/index.kunsan
미디어문화학과
전북대학교
https://www.jbnu.ac.kr
고고문화인류학과
전북대학교
https://www.jbnu.ac.kr
인문학부(고고문화인류학전공)
전주대학교
https://www.jj.ac.kr
문화융합콘텐츠학과
전주대학교
https://www.jj.ac.kr
역사문화콘텐츠학과
공주대학교
http://www.kongju.ac.kr/
문화재보존과학과
선문대학교
https://www.sunmoon.ac.kr
문화콘텐츠학과
선문대학교
https://www.sunmoon.ac.kr
순결가정문화학과
선문대학교
https://www.sunmoon.ac.kr
역사문화콘텐츠학과
선문대학교
https://www.sunmoon.ac.kr
역사문화콘텐츠학부
순천향대학교
https://www.sch.ac.kr
한국문화콘텐츠학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https://www.nuch.ac.kr
무형유산학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https://www.nuch.ac.kr
문화유적학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https://www.nuch.ac.kr
문화재관리학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https://www.nuch.ac.kr
문화재보존과학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https://www.nuch.ac.kr
보존과학과
한서대학교
https://www.hanseo.ac.kr
문화재보존학과
호서대학교
https://www.hoseo.ac.kr
문화기획전공
호서대학교
https://www.hoseo.ac.kr
문화기획학과
호서대학교
https://www.hoseo.ac.kr
문화콘텐츠전공
호서대학교
https://www.hoseo.ac.kr
문화콘텐츠창작전공
세명대학교
http://www.semyung.ac.kr
미디어문화학부
청주대학교
https://www.cju.ac.kr
문화정보학부
청주대학교
https://www.cju.ac.kr
문화콘텐츠학과
충북대학교
https://www.chungbuk.ac.kr
고고미술사학과
예원예술대학교
https://www.yewon.ac.kr
문화재ㆍ보존학과
예원예술대학교
https://www.yewon.ac.kr
문화재보존예술학과
예원예술대학교
https://www.yewon.ac.kr
문화재전공
원광대학교
https://www.wonkwang.ac.kr
고고・미술사학과
경민대학교
https://www.kyungmin.ac.kr
독서문화콘텐츠과
경북과학대학교
https://www.kbsc.ac.kr
문화재관리과
대전보건대학교
https://www.hit.ac.kr
문화재과
동부산대학교
https://www.dpc.ac.kr
풍수명리복지과
서일대학교
https://www.seoil.ac.kr
민족문화과
서일대학교
https://www.seoil.ac.kr
민족문화학과
충북보건과학대학교
https://www.chsu.ac.kr
청소년문화복지과
전주비전대학교
https://www.jvision.ac.kr
국제문화과
전주비전대학교
https://www.jvision.ac.kr
국제협력기술과
  • 학과 소개:혼인과 가족, 종교와 문화, 언어와 문화, 문화변동론, 인류학 현지조사 및 실습, 고고학 현지조사 및 실습, 문화인류학의 역사, 역사인류학, 생태인류학, 정치인류학, 경제인류학, 현대문화인류학 이론, 현지 조사방법론, 역사고고학, 문화인류학과 현대사회 등 미술사학과. ‡ 입문과목 : 한국미술사, 동양미술사, 서양미술사, 인도서역미술사, 일본미술사 등
  • 기초과목 : 서양고대 및 중세미술, 르네상스 및 바로크미술, 서양근대미술, 서양현대미술, 미술사방법론, 미술사강독, 동양도자사, 미술이론과 비평, 동양서예사, 한국조각사, 고고학조사연습 등 문화재학과 ‡ 입문과목 : 한국사사료강독, 박물관학개론, 화재실측의 기초, 문화재보존과학기초, 세계문화의 이해, 문화인류학개론, 한국고대미술사, 문화재학, 고고학 개론, 무기물보존기초, 문화재화학실습, 도토기보존연구, 유기물보존기초 등
  • 심화과목 : 금속유물보존처리, 한국고고학의 이해, 박물관전시수장환경론, 한국미술의 이해, 유럽고고학, 중국고고학, 한국금속공예사, 목제유물보존처리, 한국고문서의 이해, 유기문화재재료 연구, 야외고고학, 한국조각사, 문화재보존실습, 기록물보존연구, 문화재분석연습, 한국선·원사고고학, 문화재강독, 동양미술사, 고고학연구법, 한국중세미술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