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화매체를 활용한 사전상담교육이 청소년의 상담에 대한 지식, 태도,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mic medium for precounseling education
학위논문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2015
권지현
2015
-
하워드 스톤의 단기 목회상담의 관점에서 본 목회 상담가 바울
학위논문
서울 : 장로회신학대학교, 2009
이창상
2009
-
코로나-19로 인한 전문상담사의 학교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Phenomenological study of professional counselors school counseling experience due to COVID-19
학위논문
부산 : 경성대학교, 2022
김모선
2022
-
중학생의 적응문제 인식과 상담기대 및 교사의 상담 역할 인식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udents’ recognition of adaptation problems and the expectations for counseling and the teachers’ recognition as counselors in middle school
학위논문
포천 : 대진대학교, 2018
주매례
2018
-
지역아동센터(공부방)의 상담 실태 및 상담요구도 분석 = An analysis of actual counseling status and need for counseling at community children center(study room) : Focused on the Kyunggi area
학위논문
서울 :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200712
고미향
200712
-
"아담스의 권면적 상담에 근거한 위기상담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Appraisal of the Crisis counseling application based on J. E. Adams' nouthetic counseling
학위논문
서울 :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12
고성실[1955-]
2012
-
은둔형 인터넷중독 청소년과의 상담관계 형성을 위한 상담자의 접근방식 분석 = Analysis on counselors' approach types for the shaping of counseling relationship with secluded internet-addicted youths
학위논문
서울 : 중앙대학교, 2011
조영미
2011
-
Jay E. Adams의 목회상담과 Carl R. Ragers의 비지시적 상담에 관한 한 연구
학위논문
서울 : 연세대학교, 1982
진경
1982
-
자기성장 집단프로그램이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상담자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학위논문
평택 : 평택대학교, 2020
김광순
2020
-
도박중독에서 회복 중인 전문 회복상담사의 상담경험 연구 = Counseling experience of professional counselors who are recovering from gambling addiction
학위논문
서울 : 숭실대학교, 2022
추서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