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갑판원
요약
하는일 | 선박의 안전항해와 화물운송을 위하여 선체 및 갑판 관련 설비를 점검·보수·정비·운영한다. |
---|---|
되는길 | 선박갑판원이 되려면 수산계 고등학교의 항해 관련과를 졸업하거나 선원법에 의한 선원수첩을 소지해야 한다. 신규로 선원수첩을 발급 받기 위해서는 연령이 만 18세 이상이어야 하며, 한국해양수산연구원에서 실시하는 기초안전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315만원, 평균(50%) 3626만원, 상위(25%) 4172만원 |
만족도 | 57.3 |
일자리전망 | 증가(0%) 현상유지(57%) 감소(43%) |
업무수행능력 | 신체적 강인성(85)/반응시간과 속도(76)/움직임 통제(73)/유연성 및 균형(71)/시력(70) |
지식 | 지리(100)/운송(100)/기계(73)/안전과 보안(73)/통신(33) |
업무환경 |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9)/움직이는 기계(99)/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99)/온몸 진동 노출(98)/균형을 유지하기(98) |
성격 | 인내(70)/사회성(53)/자기통제(50)/스트레스 감내성(50)/타인에 대한 배려(46) |
흥미 | 현실형(Realistic)(95)/진취형(Enterprising)(35) |
직업가치관 | 다양성(50)/애국(35)/심신의 안녕(31)/개인지향(31)/이타(28) |
업무활동 중요도 | 기계장비 유지 보수(97)/일반적인 신체활동(96)/물건 조종, 운반(96)/차량, 기계, 장비 작동(96)/기계장치 제어(96) |
업무활동 수준 | 차량, 기계, 장비 작동(98)/물건 조종, 운반(97)/기계장비 유지 보수(97)/기계장치 제어(96)/일반적인 신체활동(95) |
관련직업 | 택배원 집배원 하역·적재종사원 |
직무개요
- 선박의 안전항해와 화물운송을 위하여 선체 및 갑판 관련 설비를 점검·보수·정비·운영한다.
수행직무
- 갑판정비계획서, 선체도면, 기기매뉴얼, 선급규칙, 선박정비 관련 매뉴얼, 예방정비 항목 등을 식별하고 정비계획을 수립하며 작업결과를 정비문서에 기록하여 관리한다.
- 갑판 작업의 위험요소(고소, 중량물, 화재, 폭발, 질식, 중독, 선외추락, 감전, 작동중인 기기, 선체보건 등)을 확인하고 안전작업표준, 보호장구, 안전표시, 방호장치, 가스검지기 등 안전조치를 취한다.
- 선체의 부식을 예방하기 위해 부식방지 도료, 페인트 및 그리스 매뉴얼, 고압 세척장비, 블라스팅(blasting, 표면에 모래, 강(鋼) 쇼트, 그릿, 모래나 규석 입자 등의 연마재를 첨가한 물 등을 압축 공기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강력하게 분사하여 스케일, 녹, 도막(塗膜) 등을 제거) 장비, 도장용 스프레이, 그리싱펌프, 선박 도장 정비표 등 각종 장비를 사용하여 도장 및 그리싱한다.
- 선박의 화물창, 화물창 외 구획, 개구부의 출입구 상태, 진입 사다리 상태, 손상 및 균열상태, 수밀상태, 패킹, 파이프라인, 페인팅 상태, 외판 부식 상태, 누유상태 등을 점검하고 관리한다.
- 묘박장비(anchor, 앵커), 계류장비(일정한 곳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밧줄 같은 것으로 붙잡아 매어 놓는 장비), 승정용 장비 등 계선장비(선박을 육지에 매어 두는 장비)를 점검하고 관리한다.
- 해치커버, 하역기기 및 평형수 설비 등 하역장비를 점검하고 관리한다.
- 개인구명장구, 구명정, 구명 뗏목, 구조정 등 구명장구 및 설비를 점검하고 관리한다.
- 휴대용 소화장비, 고정식 소화설비, 소화장치, 화재탐지장치 등 화재설비 및 장치를 점검하고 관리한다.
- 갑판관리에 필요한 자재를 신청하고 검수, 보관, 관리한다.
- 갑판에 설치된 각종 시설물을 취급·운영하고 화물 상하역 등 갑판 업무를 수행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315만원 |
3626만원 |
4172 만원 |
직업만족도
- 선박갑판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7.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선박갑판원의 고용은 감소할 전망이다.
- 해양수산부의 자료에 따르면 선원수첩소지자와 해기면허소지자는 증가하고 있으나, 취업선박과 취업선원은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다.
- 취업선원은 3만9천명 수준에서 큰 폭의 변화를 보이지 않고 5년간 유지되고 있으며 취업선박은 5천척 수준에서 미미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 취업선원 수는 답보하고 있는데 비해 면허 소지자는 다소 증가하여 동 자료에서 취업률은 2012년 기준 46.6%로 자격자의 절반 수준이 일자리를 얻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비해 면허 소지자는 증가하고 있어 시장 내에 일자리를 얻지 못하는 자격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의 선박은 2008년 6,467척에서 2012년 6,743척으로 증가하였는데, 원양어선과 해외취업선을 제외한 선박에서 증가를 보였다.
- 외항선과 내항선 등 상선은 증가하여 여객이나 화물 등의 수송이 증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 원양어선의 경우 과거에는 우리나라의 주요 외화 획득원으로 큰 역할을 하였으나, 미국과 유럽연합 등에 의한 어업통제 강화, 불법어업 미조치국에 대한 국내법 개정 요구 등 대외적 여건이 악화되고 있다.
- 또한 원양어선의 노후화가 진행(92.4%)되었으며, 어선원의 고령화가 심화되어 어선원 중 40세 이상의 비율이 60% 이상으로 향후에도 어선쪽의 인력수요는 현행 수준을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