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식조리사
요약
하는일 | 음식점에서 각종 탕, 튀김, 면류 등의 중식을 조리한다. |
---|---|
되는길 | 중식조리사가 되기 위해서는 조리 및 요리관련 민간교육기관에서 수업을 이수하거나 전문계고등학교의 조리과 및 식품공업과,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교의 (호텔)조리관련학과, 외식산업관련학과 등에서 이론과 실습을 하는 것이 유리하며 국가자격인 "중식조리사"자격을 취득하는 것이 취업이나 창업에 유리하다. 특히 식품위생법’에 따르면 병원, 학교, 정부투자기관 등 집단급식소, 복어조리업, 120㎡ 이상인 식품접객업자는 조리사 자격증을 소지한 자를 채용하게 되어 있으며, 호텔을 비롯해 대형 음식점에서도 중식조리사 자격 소지자에 한해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
전공 | 식품조리학과 호텔·관광경영학과 |
자격 | 중식조리기능사(국가기술) 중식조리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000만원, 평균(50%) 3764.8만원, 상위(25%) 4248만원 |
만족도 | 60.9 |
일자리전망 | 증가(13%) 현상유지(63%) 감소(23%) |
업무수행능력 | 재정 관리(86)/시간 관리(85)/반응시간과 속도(78)/물적자원 관리(75)/신체적 강인성(68) |
지식 | 고객서비스(82)/식품생산(64)/심리(49)/인사(49)/영업과 마케팅(33) |
업무환경 |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8)/오염물질 노출(98)/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8)/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97)/서서 근무(96) |
성격 | 혁신(73)/타인에 대한 배려(61)/독립성(52)/성취/노력(52)/스트레스 감내성(43) |
흥미 | 예술형(Artistic)(57)/현실형(Realistic)(31) |
직업가치관 | 다양성(75)/인정(56)/자율(33)/성취(24)/개인지향(21) |
업무활동 중요도 | 자원 관리(73)/일반적인 신체활동(60)/물건 조종, 운반(49)/사람들을 배려, 돌봄(37)/협상, 갈등 해결(37) |
업무활동 수준 | 자원 관리(70)/물건 조종, 운반(44)/일반적인 신체활동(42)/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38)/협상, 갈등 해결(37) |
관련직업 | 주방장 한식조리사 양식조리사 일식조리사 바텐터 음료조리사 |
직무개요
- 음식점에서 각종 탕, 튀김, 면류 등의 중식을 조리한다.
수행직무
- 주문서나 식단계획표에 따라 재료를 주문하고, 재료의 상태를 검수한다.
- 요리기기를 조작·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 식기, 요리기구, 주방 내를 청결히 관리하며, 위생복과 위생모를 착용하고 손을 소독한 뒤 조리에 들어간다.
- 식단과 주문량에 따라 재료를 선택하여 다듬고 세척한다.
- 요리기구를 사용하여 각종 중식요리(소스·육수, 냉채, 튀김·볶음·구이 요리, 스프 및 탕 요리, 찜 및 조림 요리, 딤섬 및 만두 요리, 면 요리, 밥·죽 요리, 절임 및 부식 등)를 조리한다.
-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법, 재료의 특성에 따라 적당한 그릇을 선택하여 담아낸다.
- 조리된 음식의 맛, 영양상태 등을 점검하고 개선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중식조리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0.9%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중식조리사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 맞벌이가구의 증가와 1인가구의 증가는 대표적인 배달외식업인 중식음식점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통계청의 "전국 사업체통계조사"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전국의 중식음식점업수는 21,796개, 종사자수는 77,220명, 2013년 21,503개소 76,608명, 2014년 21,550개 77,201명과 비교할때 최근 현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 이는 최근 배달외식의 메뉴가 점차 다양해지고 있고, 반조리식품 등 가정에서 손쉽게 조리를 해먹을 수 있는 판매음식이 다양해지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 또한 최근 타 산업에서 구조조정으로 명예퇴직을 한 중년층과 은퇴를 본격화한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 출생)가 소자본으로 음식점 창업에 몰리는 반면, 이미 외식시장이 포화상태인 점도 고용증가를 가져오는데는 한계로 작용할 전망이다.
- 국세청의 "개인사업자 신규/폐업현항(2016)"에 따르면 2005년~2014년 사이의 음식점 폐업은 172만개로 전체 폐업의 21.6%를 차지할 만큼 음식점으로 안정적인 사업을 운영하는 것도 점차 쉽지 않을 전망이어서 조리사 전반의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