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원(다림질원)
요약
하는일 | 고객으로부터 의뢰 받은 의류나 침구류 등을 세탁하고 다림질한다. |
---|---|
되는길 | 세학원이 되기위해 특별히 요구되는 학력은 없다. 관련 자격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세탁기능사가 있으나 세탁원이 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세탁기능사가 되기 위해서는 섬유감별능력, 의류의 다림질, 의류에 부착한 얼룩의 판별과 그에 따른 약제선택과 얼룩제거 작업 등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일반적으로 섬유에 관련 지식뿐만 아니라 관련 법규나 세탁약품 등의 이론적 지식이 필요하며, 의복관리방법과 물세탁방법, 다림질방법, 세탁기계이용법, 드라이클리닝방법 등 세탁과정 등의 기술적 지식을 습득해야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 관련 업체에 취업하여 세탁 기술을 습득하거나 세탁기술학원이나 프랜차이즈 업체에서 창업 관련 교육을 통해 세탁 기술을 배운 후 현장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수선업무의 경우 사설학원, 여성인력개발센터 등을 통해 의류리폼, 수선 등에 대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세탁기능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700만원, 평균(50%) 3108만원, 상위(25%) 3522만원 |
만족도 | 59.3 |
일자리전망 | 증가(7%) 현상유지(30%) 감소(63%) |
업무수행능력 | 서비스 지향(76)/고장의 발견.수리(66)/작동 점검(64)/장비 선정(64)/장비의 유지(61) |
지식 | 고객서비스(87)/기계(67)/영업과 마케팅(62)/화학(50)/경영 및 행정(44) |
업무환경 | 주말 및 공휴일 근무(98)/의사결정 가능성(98)/의사결정 권한(96)/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5)/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91) |
성격 | 꼼꼼함(97)/인내(86)/책임과 진취성(86)/정직성(81)/타인에 대한 배려(81) |
흥미 | 예술형(Artistic)(46)/현실형(Realistic)(34) |
직업가치관 | 개인지향(96)/자율(83)/성취(70)/고용안정(43)/이타(34) |
업무활동 중요도 | 기계장치 제어(79)/자원 관리(77)/물건 조종, 운반(71)/기계장비 유지 보수(66)/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65) |
업무활동 수준 | 기계장치 제어(70)/물건 조종, 운반(69)/자원 관리(65)/기계장비 유지 보수(63)/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61) |
관련직업 | 청소원 환경미화원 및 재활용품수거원 방역원 가사관리사 |
직무개요
- 고객으로부터 의뢰 받은 의류나 침구류 등을 세탁하고 다림질한다.
수행직무
- 고객으로부터 의뢰 받은 세탁물을 옷감의 종류에 따라 분류한다.
- 구분된 세탁물을 물과 세제를 사용하여 물세탁을 한 후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하거나,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크리닝 한다.
- 드라이크리닝 시에는 유기용제의 농도 등을 고려하여 드라이크리닝기를 조작하여 세탁한다.
- 세탁물에 따라 얼룩을 빼거나 특수처리를 한다.
- 세탁이 완료 된 후에는 세탁물의 상태를 확인하고 다림질 한 후에 정리한다.
- 주기적으로 세탁기계와 다림질기계를 점검하고 청소한다.
- 때에 따라 의류 등을 수선하는 업무를 하기도 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2700만원 |
3108만원 |
3522 만원 |
직업만족도
- 세탁원(다림질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9.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세탁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한국고용정보원의 「2015-2025 중장기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세탁원은 2015년 약 41천 명에서 2025년 약 41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에 따르면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세탁업소 수 모두가 매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 또한, (사)한국세탁업중앙회에 따르면 2016년 현재 전국의 세탁업소 수가 약 28,000여 개로 추정되는데 세탁업계가 구조조정이 진행 중이어서 향후 몇 년간은 매년 700~800여 개씩 꾸준히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맞벌이 가정,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가정에서 세탁하기보다 전문 업소에 맡겨 오염을 제거하거나 다림질하는 사람 역시 증가하고 있다.
- 이러한 수요 증가로 세탁소가 활발히 운영되는 반면, 공장 형태의 대규모 프랜차이즈 세탁소가 등장하면서, 소규모의 영세 세탁소는 가격 경쟁에 밀려 문을 닫는 곳도 있다.
- 의류의 명품화, 워셔블한 소재 개발 등 의류착용 패턴의 변화, 노타이 패션 유행, 쿨비즈로 양복착용 감소 등은 세탁 전문업소의 일감을 줄일 것이다.
- 또한, 경기불황, 각 가정의 드럼세탁기 보급, 스팀다리미 보급률 등이 증가한 것은 세탁원의 고용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셀프드라이클리닝전문점, 셀프빨래방 등 새로운 세탁시설의 등장 역시 세탁원의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 프랜차이즈 세탁소의 경우도 버튼 하나로 다림질을 하는 등 기계화·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여러 명의 세탁원이 하던 작업을 소수가 처리하고 있어 많은 세탁원의 인력 창출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그러나 의류 중심의 기존 세탁소 외에 명품 핸드백, 카펫, 커튼 등의 고급의류와 신발, 봉제인형 등 특화된 분야를 중심으로 한 전문세탁인력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 따라서 특화된 전문기술을 익히거나 수선업무 등 다른 업무를 병행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히는 노력이 필요하며, 세탁물 관련 소비자 불만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경쟁에서 우위를 가지려면 다양한 제품 특성에 따른 정확한 세탁방법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