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원
요약
하는일 | 일상적으로 건물이나 다중이용시설, 생산시설, 운송수단 등을 청소하여 청결을 유지한다. |
---|---|
되는길 | 청소원이 되는 데 요구되는 특별한 자격 및 학력, 나이 등의 조건은 없다. 그러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적으로 채용하는 환경미화원은 체력시험과 필기시험, 면접 등을 거쳐 선발된다. 건물청소원은 청소경험이나 가사경험이 있는 중장년층 여성들이 많이 활동하는 편이며, 고용주가 신원이 확실한 사람들을 고용하고자 하기 때문에 여성인력개발센터나 여성훈련기관에서 청소방법 등의 관련 교육을 받고 알선을 받아 일하는 경우가 많다. 운송장비청소원이나 환경미화원은 젊은 나이부터 중장년층의 남성이 고루 활동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신체적인 강인함과 성실성이 요구된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000만원, 평균(50%) 2200만원, 상위(25%) 2486만원 |
만족도 | 50.3 |
일자리전망 | 증가(7%) 현상유지(60%) 감소(33%) |
업무수행능력 | 유연성 및 균형(84)/신체적 강인성(77)/서비스 지향(43)/움직임 통제(42)/물적자원 관리(28) |
지식 | 기계(41)/식품생산(25)/건축 및 설계(24)/의료(24)/예술(23) |
업무환경 |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8)/오염물질 노출(98)/서서 근무(92)/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88)/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83) |
성격 | 꼼꼼함(14)/스트레스 감내성(5)/인내(1)/사회성(1)/정직성(0) |
흥미 | 현실형(Realistic)(59)/사회형(Social)(59) |
직업가치관 | 이타(76)/개인지향(34)/성취(33)/다양성(30)/자율(23) |
업무활동 중요도 | 일반적인 신체활동(87)/물건 조종, 운반(77)/대인관계 유지(23)/기계장비 유지 보수(18)/기계장치 제어(16) |
업무활동 수준 | 일반적인 신체활동(77)/물건 조종, 운반(73)/대인관계 유지(20)/기계장비 유지 보수(18)/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16) |
관련직업 | 환경미화원 및 재활용품수거원 방역원 세탁원(다림질원) 가사관리사 |
직무개요
- 일상적으로 건물이나 다중이용시설, 생산시설, 운송수단 등을 청소하여 청결을 유지한다.
수행직무
- 청소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청소세제, 빗자루, 걸레, 청소기계 등을 사용하여 화장실, 복도, 유리나 외벽, 가구 등을 청소한다.
- 청소 후 청결상태를 평가한다. 청소도구를 정리하고 관리한다. [병원청소원]
- 청소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청소세제, 빗자루, 걸레, 청소기계 등을 사용하여 화장실, 실내 등을 쓸고 닦는다.
- 청소 후 청결상태를 평가한다.
- 청소도구를 정리하고 관리한다. [세차원]
- 오염된 차량표면과 하부에 물을 분사한다.
- 세정제를 이용하여 유리 및 차량표면을 세척한다.
-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먼지를 제거한다.
- 각종 시트나 커버를 청소한다.
- 세차고객이 원할 경우 차량에 광택을 내기도 한다. [역구내정리원]
- 역구내 및 플랫폼 등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빗자루나 걸레 등을 사용하여 쓸고 닦는다.
- 화장실, 승강장 등 승객 편의시설물 등을 청소하고 부족부품을 보충한다.
- 방화수, 방화사, 구내시설물 등을 정리하고 부족한 양을 보충한다.
- 승강장출입문, 계단, 화장실 등 승객의 편의시설의 손·망실을 점검하고 수리한다.
- 역구내에서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일을 하기도 한다. [항공기세척원]
- 세척장 내로 견인된 항공기를 확인하고, 세제나 왁스, 솔 등의 작업도구를 준비한다.
- 급수장비를 사용하여 물을 뿌리고 세제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물을 사용하지 않고 왁스를 이용하여 세척한다.
- 항공기 외관의 제빙 및 제설작업을 수행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2000만원 |
2200만원 |
2486 만원 |
직업만족도
- 청소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0.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청소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 깨끗한 도시 환경을 유지하고 생활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와 환경 관련 단체들이 노력한 결과 환경 관련 예산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청소원의 고용도 지속될 것이다.
- 그러나 상당수의 지방자치단체가 민간위탁 대행업체에 청소용역을 주고 있어 각 지자체에서 선발하는 청소원의 고용 증가는 기대하기 어렵다.
- 또한, 지자체가 쓰레기 감량시책과 재활용 분리배출 유도 정책을 추진하면서 주민들의 의식이 변화하고 있고,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사용하는 가정이 늘어나는 등 향후 생활폐기물은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청소기계 및 장비의 발전으로 예전처럼 많은 인력이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 청소원의 고용은 현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