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도장공
요약
하는일 | 건축물·구조물 내외부의 표면을 예쁘게 꾸미거나 방수효과를 주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수성·유성페인트, 합성수지 에멀죤페인트 및 기타 도료를 칠한다. |
---|---|
되는길 | 건물도장공이 되기 위해 특별한 자격이나 학력은 요구되지 않지만, 도면이나 시방서를 해석하고 이에 따라 작업할 수 있어야 한다. 많은 건물도장공들이 현장에서 숙련공의 보조원으로 일하면서 기능을 습득한다. 직업훈련기관에서 직업훈련을 받고 국가기술자격인 건축도장기능사를 취득하면 취업에 유리하다. 공사규모에 따라 요구되는 자격증 취득자를 일정 인원 이상 확보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자격취득이 취업에 도움이 된다. 건물도장공은 주로 해당 전문공사업체(단종업체), 내장공사업체, 인테리어업체, 지물포 등에 소속되어 근무하거나 작업반장을 중심으로 3~8명 정도의 기능공으로 구성된 팀에 소속되어 일을 한다. 취업은 사설학원이나 직업훈련기관에서 일자리를 소개받거나, 고용센터, 온라인 취업알선사이트를 통해 소개를 받기도 한다. 경력이 없는 경우에는 직업소개소나 지인의 소개로 취업을 하기도 한다. 보통 3~5년간의 경력을 쌓아야만 숙련공이 될 수 있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건축도장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108만원, 평균(50%) 3729.6만원, 상위(25%) 4144만원 |
만족도 | 52.6 |
일자리전망 | 증가(7%) 현상유지(63%) 감소(30%) |
업무수행능력 | 시력(88)/움직임 통제(88)/신체적 강인성(87)/장비 선정(84)/유연성 및 균형(81) |
지식 | 건축 및 설계(87)/디자인(60)/화학(52)/운송(50)/예술(44) |
업무환경 | 고지대 작업(100)/규칙적인 근무(100)/비좁은 업무 공간(98)/서서 근무(98)/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8) |
성격 | 꼼꼼함(84)/인내(74)/협조(57)/성취/노력(42)/스트레스 감내성(31) |
흥미 | 예술형(Artistic)(73)/진취형(Enterprising)(53) |
직업가치관 | 다양성(22)/경제적 보상(13)/애국(12)/고용안정(7)/이타(6) |
업무활동 중요도 | 일반적인 신체활동(96)/물건 조종, 운반(94)/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8)/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78)/기계장비 유지 보수(72) |
업무활동 수준 | 일반적인 신체활동(97)/물건 조종, 운반(92)/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4)/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3)/기계장비 유지 보수(77) |
관련직업 | 미장공 방수공 단열공 타일·대리석시공원 도배공 유리부착원 섀시조립·설치원 |
직무개요
- 건축물·구조물 내외부의 표면을 예쁘게 꾸미거나 방수효과를 주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수성·유성페인트, 합성수지 에멀죤페인트 및 기타 도료를 칠한다.
수행직무
- 도면이나 지시서를 숙지하고 도장 당일의 온도, 습도, 바람, 환기조건 등의 환경조건을 살핀다.
- 도료가 시공면에 잘 발릴 수 있도록 스크레이퍼(scraper, 긁개), 쇠슬, 사포 등을 사용하여 묵은 페인트나 거친 부위를 긁어낸다.
- 못구멍, 균열부분, 봉합면을 고르게 하기 위해 스크레이퍼를 사용하여 퍼티, 모르타르 등을 바르고, 건조되면 규정된 규격 연마지로 매끄럽게 연마한다.
- 페인트에 희석제를 섞거나 색조를 혼합한다.
- 붓, 롤러, 스프레이건(분사기) 등을 사용하여 수성·유성페인트, 합성수지 에멀죤페인트 등의 도장재를 바르거나 뿌린다.
- 도장 대상물에 따라 연마와 도장을 반복적으로 한다.
- 높은 장소에 칠을 할 경우 파이프, 클램프, 발판 등의 비계를 설치하거나 줄, 곤도라 등을 설치하여 작업하기도 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건물도장공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2.6%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건축도장공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15-2025 중장기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건축도장공은 2015년 약 53.7천명에서 2025년 약 53.1천명으로 향후 10년간 0.6천명(연평균 -0.1%)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건축도장공의 고용은 건설경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 100%를 상회하는 주택보급률, 저출산·고령화 등에 따른 신규건축 수요 감소, 가계대출 억제와 신규 분양물량 조절 정책 등으로 민간건축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 반면에 국내 건설 산업이 2020년을 전후하여 본격적인 성숙 단계에 진입하면서 기존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과 재건축 시장이 성장할 것이고, 침체된 도심을 되살리는 도시재생 사업도 본격화할 것이다.
- 특히, 아파트 등 기존 오래된 건축물이 증가하면서 건물 외벽 등에 대한 건축도장 수요가 꾸준히 발생할 것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