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금원 및 판금기조작원
요약
하는일 | 철판, 알루미늄, 동, 주석, 아연 또는 함석과 같은 금속판으로 자동차, 항공기, 가구, 보일러 등 각종 금속제품의 부분품을 제작, 설치, 수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보통 금속판을 가공하여 각종 금속을 제작하는 이들을 지칭한다. 주로 조립 금속제품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다. |
---|---|
되는길 | 판금원(판금기조작원)이 되려면 공업계 고등학교의 기계 및 재료관련 학과나 직업전문학교의 산업설비 및 소성가공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좋다. 전문대학의 용접학과, 컴퓨터응용기계과, 컴퓨터응용금속과, 산업설비과, 산업설비자동화과 등에서 용접이나 판금 등을 배울 수도 있다. 한편, 직업전문학교에는 일반판금, 타출판금, 자동차판금, 제관 등의 훈련과정이 단기과정으로 개설되어 있다. 판금원(판금기조작원)은 전문대학 이상에서 용접과, 기계과 등을 전공하거나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면 취업과 업무수행에 유리하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판금기능사(국가기술) 판금제관산업기사, 기능장(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232만원, 평균(50%) 3729.6만원, 상위(25%) 4172만원 |
만족도 | 64.5 |
일자리전망 | 증가(6%) 현상유지(29%) 감소(63%) |
업무수행능력 | 설치(96)/장비 선정(90)/작동 점검(86)/고장의 발견.수리(86)/조작 및 통제(84) |
지식 | 기계(95)/운송(87)/상품 제조 및 공정(87)/공학과 기술(81)/고객서비스(70) |
업무환경 | 보호장비 착용(94)/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93)/서서 근무(92)/걷거나 뛰기(92)/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2) |
성격 | 신뢰성(81)/스트레스 감내성(81)/타인에 대한 배려(74)/자기통제(74)/인내(74) |
흥미 | 현실형(Realistic)(82)/탐구형(Investigative)(55) |
직업가치관 | 심신의 안녕(49)/애국(40)/성취(33)/경제적 보상(31)/지적 추구(25) |
업무활동 중요도 | 기계장비 유지 보수(95)/일반적인 신체활동(94)/기계장치 제어(92)/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2)/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0) |
업무활동 수준 | 기계장비 유지 보수(93)/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2)/기계장치 제어(92)/차량, 기계, 장비 작동(91)/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9) |
관련직업 | 제관원(제관기조작원) |
직무개요
- 철판, 알루미늄, 동, 주석, 아연 또는 함석과 같은 금속판으로 자동차, 항공기, 가구, 보일러 등 각종 금속제품의 부분품을 제작, 설치, 수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보통 금속판을 가공하여 각종 금속을 제작하는 이들을 지칭한다. 주로 조립 금속제품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다.
수행직무
- 제작방법 및 작업절차를 결정하기 위하여 도면 및 작업지시서를 검토한다.
- 도면에 따라 금속판에 참고점과 선을 표시한다.
- 표시점 및 선에 따라 금속판을 절단, 절곡하거나 구멍을 뚫는다.
- 볼트, 접착제, 리벳을 이용하거나 납땜 및 용접기로 부품을 접착, 조립, 설치한다.
- 금속판을 두드려서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고 마무리한다.
- 금속판을 절단, 절곡, 천공, 조립, 용접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공구 및 동력 공구를 기술적으로 사용한다.
- 완성된 물품의 형태와 치수 및 마무리상태를 검사하고 결함을 수리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판금원 및 판금기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4.5%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판금원(판금기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판금원의 고용을 결정하게 되는 주요 산업은 철강관제조업,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업, 금속탱크, 저장보, 유사용기 제조업 등인데 자동차, 조선산업의 활황에 기인한 전방산업의 효과 및 제품의 다양화 요구에 부응한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 인해 관련 인력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그러나 고기능성 플라스틱, 비철금속 소재 등 신소재 대체 재료의 개발이 확대되고, 공정의 자동화와 기계화로 인력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지는 않다.
- 특히 CAD/CAM 등 컴퓨터 프로그램의 사용으로 업무 효율화가 이뤄지고 공정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기존 판금 및 제관 분야의 인력감축이 예상된다.
- 최근 판금기능사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율도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데 이는 판금 분야에서 신규인력수요 창출이 어렵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 한편, 보일러, 덕트, 에어컨 케이스 등의 제작 업무는 숙련을 요구하는 작업으로, 이 분야에 종사하는 판금제관 기능공은 어느 정도 고용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 숙련을 요하는 작업이 많으므로 판금에 전문기술을 가진 기능공은 취업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