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가공기계조작원
요약
하는일 | 원목 또는 일차 제재한 재목을 제재·절삭·파쇄하거나 단판 또는 파쇄된 목재를 접착·압착하여 합판을 제조하는 각종 목재 가공장치를 조작한다. |
---|---|
되는길 | 목재가공관련 조작원이 되기 위해서는 특별한 자격을 요하지 않는다. 통상 고졸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며 기계 등 관련학과 전공자나 경력자는 취업 시 유리하다. 주로 목재가공관련 업체 등에서 근무하며 교대제로 근무한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목재가공기능사(국가기술) 임산가공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054만원, 평균(50%) 3450만원, 상위(25%) 4144만원 |
만족도 | 58.4 |
일자리전망 | 증가(13%) 현상유지(17%) 감소(70%) |
업무수행능력 | 움직임 통제(93)/정교한 동작(92)/신체적 강인성(92)/고장의 발견.수리(91)/유연성 및 균형(91) |
지식 | 기계(94)/상품 제조 및 공정(93)/건축 및 설계(62)/공학과 기술(60)/화학(44) |
업무환경 | 위험한 장비 노출(100)/오염물질 노출(100)/온몸 진동 노출(100)/소음 노출(99)/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8) |
성격 | 타인에 대한 배려(20)/리더십(18)/혁신(16)/자기통제(14)/책임과 진취성(12) |
흥미 | 현실형(Realistic)(63)/예술형(Artistic)(14) |
직업가치관 | 애국(51)/성취(47)/고용안정(46)/이타(37)/지적 추구(34) |
업무활동 중요도 | 물건 조종, 운반(97)/기계장비 유지 보수(96)/기계장치 제어(96)/차량, 기계, 장비 작동(94)/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2) |
업무활동 수준 | 물건 조종, 운반(97)/기계장치 제어(95)/기계장비 유지 보수(95)/차량, 기계, 장비 작동(91)/일반적인 신체활동(90) |
관련직업 | 펄프·종이제조장치조작원 종이제품생산기계조작원 |
직무개요
- 원목 또는 일차 제재한 재목을 제재·절삭·파쇄하거나 단판 또는 파쇄된 목재를 접착·압착하여 합판을 제조하는 각종 목재 가공장치를 조작한다.
수행직무
- [목재가공기조작원] 콘테이너용 합판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기계(tenoner)를 조작한다.
- [제재기조작원] 대차기로 제재한 반제품(혹은 빵재)을 테이블(table)식 제재기를 사용하여 제재기보조원과 함께 규정된 치수의 각재나 판재로 켠다.
- [목재건조기운전원] 제재된 목재를 필요한 함수율이 유지되도록 건조하는 건조기를 운전한다.
- [방부처리원] 건축외장재 및 어린이놀이시설물, 조경시설물, 지주재 등의 건축용재와 철도침목 등으로 쓰이는 판재나 각재 같은 목제품에 압력을 가해 방부제나 방충제 등의 화학약품을 처리하는 주약처리과정을 조정·관리한다.
- [가구목재재단원] 자동목재 재단기를 이용하여 제품의 규격에 맞게 자재를 재단한다.
- [가구목재성형원] 자동 목재 성형장치를 사용하여 제품별로 사양에 맞게 원목을 가공하고 다듬는다.
- [합판연마기조작원] 규격에 맞추어 재단한 합판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판면을 수평이 되도록 다듬고 연마하는 연마기를 조작한다.
- [합판재단원] 합판제조 시 열압기(hot press)에서 접착된 제품을 가로·세로 규격에 맞추어 재단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 [합판접착제도포기조작원] 합판을 제작하기 위하여 단판과 중판에 접착제를 바르는 접착제도포기를 조작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054만원 |
3450만원 |
4144 만원 |
직업만족도
- 목재가공기계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8.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목재가공관련조작원의 고용은 감소할 전망이다.
- 목재 이용은 건강하고 쾌적한 활환경을 조성하여 국민 건강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탄소저장 기능을 확대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 따라서 정부(산림청)에서는 목재가공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목조주택산업의 활성화, 칩, 톱밥 산업 증진, 목탄과 목축액, 목질계 바이오에탄올 생산 등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이 대표적이다.
- 그러나 국내 목재소비량의 약 90%를 인도네시아, 말레이지아, 뉴질랜드 등에서 수입하고 있어 규모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 특히 목재를 대체할 다양한 소재가 개발되고 가구 등 목제품 및 펄프, 제지 등 관련 산업의 침체로 목재의 수요는 증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더욱이 생산라인의 자동화 추세는 증가할 것으로 보여 목재가공 관련 인력수요 전망은 밝지 않다.
- 한편, 내국인의 일자리 기피로 외국인 근로자로 고용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