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요약
하는일 | 범죄를 수사하고 공소를 제기하며 그 유지에 필요한 사항에 관한 일을 수행한다. |
---|---|
되는길 | 검사가 되기 위해서는 변호사 자격이 있는 사람이나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사법연수원 과정을 마친 후 임명되어야 한다. 변호사 자격은 2017년까지는 사법시험에 합격한 후 사법연수원 과정을 수료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2018년부터는 사법시험이 폐지되어 법학전문대학원 3년 과정을 수료하고 변호사시험에 합격하여야 취득할 수 있다. 검사는 법무부의 검찰인사위원회 심의에 의해 법무부장관이 임명하며, 직급에 따라 검찰총장, 검사장, 차장검사, 부장검사, 검사 등으로 구분된다. |
전공 | 법학과 |
자격 | 변호사(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7000만원, 평균(50%) 7479.6만원, 상위(25%) 8000만원 |
만족도 | 80.1 |
일자리전망 | 증가(33%) 현상유지(63%) 감소(3%) |
업무수행능력 | 협상(99)/범주화(99)/추리력(99)/듣고 이해하기(99)/글쓰기(99) |
지식 | 법(100)/국어(98)/철학과 신학(98)/심리(97)/인사(94) |
업무환경 | 실수의 심각성(99)/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94)/다른 사람과의 접촉(92)/공문, 문서 주고받기(92)/결과에 대한 책임(91) |
성격 | 자기통제(97)/정직성(96)/사회성(96)/책임과 진취성(96)/분석적 사고(95) |
흥미 | 현실형(Realistic)(87)/관습형(Conventional)(85) |
직업가치관 | 이타(100)/타인에 대한 영향(99)/인정(99)/경제적 보상(99)/애국(99)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물, 행동, 사건 파악(100)/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9)/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9)/의사 결정, 문제점 해결(99)/업무 계획, 우선순위 결정(98) |
업무활동 수준 |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9)/사물, 행동, 사건 파악(99)/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9)/의사 결정, 문제점 해결(97)/협상, 갈등 해결(96) |
관련직업 | 판사 변호사 법무사 및 집행관 변리사 |
직무개요
- 범죄를 수사하고 공소를 제기하며 그 유지에 필요한 사항에 관한 일을 수행한다.
수행직무
- 범죄 사건을 수사하고, 범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피의자를 법원에 기소하는 일을 담당한다.
- 형사 사건의 경우 사법 경찰관 등을 지휘하여 사건의 제반사항을 조사한다.
- 사건 관련 증거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고 사건에 적용할 규정이나 기타 법적 문제를 검토한 후 공소를 제기한다.
- 사건의 범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법원에 피의자를 기소하며, 사건에 적용할 법적 규정이나 기타 법적 문제를 검토한다.
- 민사사건에 관하여, 금치산·한정치산 선고의 신청권, 부재자의 재산관리 관여권, 회사의 해산명령 청구권, 외국회사 지점의 폐쇄명령 청구권 등을 행사하기도 한다.
- 해당 사건에 관한 타당한 결정이나 방침, 규정 및 기타 법적문제를 검토한 후 공소를 제기하고 피고를 기소 또는 방면하기 위한 증거를 제시한다.
- 법원에 정당한 법령의 적용을 청구한다.
- 국가를 당사자 또는 참가인으로 하는 소송을 수행하거나 행정소송의 수행을 지휘 감독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검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80.1%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검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
- 민사 및 형사 소송과 행정소송 등 법무서비스 수요 증가세에 맞춰 정부가 검사의 정원을 확대하여 대응하고 있다.
- 법제처 자료에 의하면 검사 정원의 경우 2010년 1,942명까지 증가해 온 정원을 5년간 동결하여 오다가 2015년 이후부터 정원을 증원하였다.
- 검사사정원법에 따른 2019년 까지의 검사 정원 추정치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검사는 연평균 3.1%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범죄발생 건수와 처리 및 구속인원은 감소 또는 정체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범죄의 다양화로 이를 처리할 검사의 업무량과 심리시간은 증대할 것이다.
- 특히 사회가 글로벌화 및 정보화시대로 변화해가면서 국제거래에 따른 분쟁, 특허 및 지적재산권 관련 민사소송과 컴퓨터범죄, 금융사기 등이 증가하고, 환경파괴, 위해식품제조 및 유통, 부당노동행위, 가정폭력 등 범죄와 형사소송이 다양하게 발생하고 범죄양상도 복잡해져 전문지식을 지닌 검사의 인력수요는 증가될 것으로 예측된다.
- 한편, 베이비부머 세대 등 경제활동 인구 감소로 인하여 분쟁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고, 과학기술 발전으로 사무업무가 자동화될 가능성이 있어 고용수요 감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종합해 보면, 검사의 고용은 부정적 요인이 있으나, 법률로 정원을 정해두기 때문에 2019년까지는 법률에서 정한 바에 따라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