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조무사
요약
하는일 | 각종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간호 및 진료에 관련된 보조업무를 수행한다. |
---|---|
되는길 | 간호조무사가 되기 위해서는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고졸 이상의 학력으로 간호조무사 양성기관에서 1년 동안 공부하거나 전문계 고등학교의 간호 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실습과정을 거친 후 간호조무사 자격시험을 치러야 한다. 합격한 후에는 각 시·도에서 자격증을 발급받아 간호조무사로 활동할 수 있으며 간호조무사가 된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보수 교육을 받아야 한다. |
전공 | 보건행정학과 |
자격 | 간호조무사 간호조무사(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383만원, 평균(50%) 2590만원, 상위(25%) 2901만원 |
만족도 | 64 |
일자리전망 | 증가(71%) 현상유지(26%) 감소(3%) |
업무수행능력 | 서비스 지향(92)/청력(91)/사람 파악(81)/시력(77)/행동조정(72) |
지식 | 의료(100)/생물(84)/고객서비스(79)/심리(71)/의사소통과 미디어(61) |
업무환경 | 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100)/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95)/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95)/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3)/외부 고객 대하기(91) |
성격 | 정직성(90)/사회성(85)/스트레스 감내성(83)/타인에 대한 배려(79)/적응성/융통성(78) |
흥미 | 사회형(Social)(88)/현실형(Realistic)(69) |
직업가치관 | 이타(81)/애국(62)/지적 추구(59)/경제적 보상(54)/인정(53)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람들을 배려, 돌봄(90)/대인관계 유지(62)/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59)/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56)/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54) |
업무활동 수준 | 사람들을 배려, 돌봄(73)/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57)/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48)/컴퓨터 업무(46)/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42) |
관련직업 | 응급구조사 안경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안마사 |
직무개요
- 각종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간호 및 진료에 관련된 보조업무를 수행한다.
수행직무
- 병상에 있는 사람이나 요양 환자에 대한 간호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 환자의 체온, 맥박 및 호흡수를 측정하여 기록하며, 의사 또는 간호사의 지시에 따라 환자를 치료하고 치료내용 및 소모시간을 기록하기도 한다.
- 환자가 신호등을 켜거나 벨을 울려 도움을 청할 때 이에 응하며, 환자를 목욕시키고 옷을 갈아입히며, 환자에게 식사를 가져다주고, 도움이 필요한 환자는 음식도 먹여준다.
- 휠체어나 기타 운전기구로 환자를 치료실로 운반하거나, 환자의 걸음을 부축한다.
- 치료에 쓰이는 약품, 붕대 등의 의약품을 소독하여 보관·지급하며, 의료기구 및 물품에 대한 소독·살균하는 일도 수행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2383만원 |
2590만원 |
2901 만원 |
직업만족도
- 간호조무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간호조무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
- 국민의 의료복지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 인구 고령화로 인해 노인의 인구가 증가하며 의료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였고, 1인 가구 및 독거노인가구가 증가하며 돌봄 대상자가 증가하여 간호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증가세를 보인다.
-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가정간호, 방문간호사업 등이 확대되면 업무에 필요한 인력이 빠르게 증가할 것이므로 간호조무사의 고용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 2012년 간호조무사 종사현황에 따르면 간호조무사 중 병원 종사 비중은 28%, 의원 및 조산원 종사 비중은 72%로 상당수가 의원에 몰려있는 편이다.
- 이처럼 간호조무사의 고용은 의료기관의 수에 영향을 받는데, 우리나라 병·의원 수는 2007년 52,914개소에서 2011년 58,496개소, 2013년 60,592개소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향후에도 일자리 수요는 지속적인 증가세가 예상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