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정보관리사
요약
하는일 | 보건 의료기관 이용자의 건강 및 질병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 분석, 관리한다. |
---|---|
되는길 | 의무기록사가 되기 위해서는 의무기록 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의무기록사 국가면허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의무기록 관련 학과에서는 의무기록관리, 질병 및 수술 분류, 의학용어 및 해부학, 임상지식, 전산실기, 건강보험 청구 및 심사, 의료의 질 관리, 병원 및 보건 통계, 의료관계법, 개인정보보호법, 병원 경영과 조직 등에 대해 공부한다. |
전공 | 보건관리학과 보건행정학과 |
자격 | 보건의료정보관리사(국가전문) 의무기록사(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031만원, 평균(50%) 3561.2만원, 상위(25%) 3857만원 |
만족도 | 70 |
일자리전망 | 증가(56%) 현상유지(23%) 감소(20%) |
업무수행능력 | 전산(95)/글쓰기(82)/읽고 이해하기(68)/듣고 이해하기(65)/수리력(59) |
지식 | 의료(99)/사무(97)/컴퓨터와 전자공학(86)/산수와 수학(76)/상담(64) |
업무환경 | 자동화 정도(97)/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93)/마감시간(93)/앉아서 근무(83)/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영향력(82) |
성격 | 분석적 사고(65)/타인에 대한 배려(61)/정직성(55)/협조(50)/책임과 진취성(48)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93)/탐구형(Investigative)(71) |
직업가치관 | 신체활동(86)/고용안정(66)/심신의 안녕(49)/지적 추구(49)/인정(48) |
업무활동 중요도 | 정보 작성, 기록(94)/행정, 관리 업무(93)/정보 수집(91)/컴퓨터 업무(89)/정보, 자료 분석(80) |
업무활동 수준 | 정보 작성, 기록(94)/행정, 관리 업무(93)/컴퓨터 업무(85)/정보 수집(85)/정보, 자료 분석(84) |
관련직업 | 응급구조사 안경사 간호조무사 안마사 |
직무개요
- 보건 의료기관 이용자의 건강 및 질병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 분석, 관리한다.
수행직무
- 환자들의 기본정보 및 의무기록 자료를 수집한다.
- 의무기록의 충실성과 완결성을 분석한 후 미비기록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관리한다.
- 질병분류번호, 사인분류번호, 의료행위 분류번호, DRG분류번호 등을 부여한다.
- 초진기록지를 생성한다.
- 새로운 의무기록서식을 개발한다.
- 의무기록지를 정리하여 보관한다.
- 진료기록지를 전사한다.
- 수집된 정보를 컴퓨터 데이터베이스에 정리한다.
- 의학연구정보, 경영지원정보, 병원평가정보 등을 생성, 분석, 제공한다.
- 의료 정보자료를 분석하여 통계자료를 만든다.
- 의료기록 대출 등 의무기록 이용에 대해 지원한다.
- 의무기록정보보호를 위한 의료진 서명관리 접근권한관리, 의무기록복사·열람·정보요구에 대한 권한관리를 한다.
- 전자의무기록 개발, 의료자료보관체계 등 의료정보체계 구축에 참여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보건의료정보관리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0%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의무기록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의무기록사 면허등록자는 2014년 기준으로 20,662명으로 2009년의 14,447명과 비교하여 5년간 43.2% 증가하였다.
- 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합격자 통계에 의하면 2013년~2015년까지 최근 3년간 연 평균 약 1,394명의 의무기록사 합격자가 배출되었다.
- 의학 지식과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의료에 대한 국민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을 뿐 아니라, 고령화로 인해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직접적인 의료서비스 구매와 의료시설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에 따라 의료서비스이용 결과로 생성되는 진료정보(의무기록)의 양도 증가할 수밖에 없으며, 진료정보를 효율적으로 유지, 보관, 이용하기 위한 전산시스템 구축과 진료비 청구, 심사 및 지급관리를 위한 전문적인 업무도 증가할 것이다.
- 의료정보시스템 구축 및 유지를 위한 의료정보 DB(Database) 구축 및 관리업무와 자료를 분류·분석하여 각종 통계 자료를 생성하고, 임상연구 및 교육을 위한 정보제공 업무 등이 증가할 것이다.
-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여 의료정보를 이용한 진단 및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의무기록사의 역할이 더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 정보보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의무기록에 담겨 있는 환자의 민감한 개인정보가 부당하게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안 업무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의무기록사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최근에 의료에 대한 법적 분쟁과 사보험 가입자가 증가하면서 진료 입증문서로 환자 본인 및 보험기관 등 외부의 의무기록 사본 발급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보건통계 및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의료정보 요구 등 업무가 다양화되고 있다.
- 강화되는 의료기관 평가와 의료정보 질 평가에 대비하여 정확하고 타당한 의료정보를 구축하기 위한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의무기록사를 고용하지 않던 병·의원 등에서 의무기록사를 채용하는 추세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