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구조사
요약
하는일 | 응급환자가 발생한 현장에서 구조업무를 행하며, 현장 또는 이송 중에 응급처치를 한다. |
---|---|
되는길 | 응급구조사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이나 대학에서 응급구조학을 전공하거나 응급구조사 양성기관에서 개설하는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대학의 응급구조학과를 졸업하면 응급구조사 1급 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며, 소방학교 및 국군군의학교, 대학의 평생교육원에서 응급구조 양성과정을 마치면 응급구조사 2급 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응급구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익년도부터 매년 4시간 이상의 보수교육을 받아야 한다. |
전공 | 간호학과 소방방재학과 응급구조학과 |
자격 | 응급구조사 1,2급(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408만원, 평균(50%) 4144만원, 상위(25%) 5180만원 |
만족도 | 67.8 |
일자리전망 | 증가(30%) 현상유지(50%) 감소(20%) |
업무수행능력 | 반응시간과 속도(98)/유연성 및 균형(95)/신체적 강인성(95)/판단과 의사결정(87)/고장의 발견.수리(84) |
지식 | 의료(100)/안전과 보안(94)/생물(84)/법(75)/지리(71) |
업무환경 | 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100)/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100)/고지대 작업(100)/움직이는 기계(99)/비좁은 업무 공간(98) |
성격 | 타인에 대한 배려(86)/분석적 사고(65)/협조(63)/리더십(59)/성취/노력(54) |
흥미 | 사회형(Social)(90)/진취형(Enterprising)(88) |
직업가치관 | 애국(96)/이타(94)/고용안정(92)/인정(83)/다양성(75)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람들을 배려, 돌봄(100)/일반적인 신체활동(99)/사물, 행동, 사건 파악(97)/차량, 기계, 장비 작동(97)/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6) |
업무활동 수준 | 사람들을 배려, 돌봄(100)/일반적인 신체활동(99)/차량, 기계, 장비 작동(97)/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7)/사물, 행동, 사건 파악(96) |
관련직업 | 안경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간호조무사 안마사 |
직무개요
- 응급환자가 발생한 현장에서 구조업무를 행하며, 현장 또는 이송 중에 응급처치를 한다.
수행직무
- 응급환자의 신고접수에 의하여 필요한 준비를 한 후 신속히 현장에 출동하여 필요한 응급처치를 행한다.
- 해결하기 곤란하거나 어려운 문제에 대해서는 지도의사와 유·무선통신으로 협의하여 조치하며, 현장에서의 긴급한 처치가 끝나면 가까운 응급의료시설로 환자를 이송한다.
- 출동사항과 처치내용을 기록하고 이를 해당 응급환자의 진료의사에게 보고한다.
- 구급차내의 장비를 언제든 사용할 수 있도록 항상 점검하고 이상이 있는 장비는 정비 또는 교체하며, 환자의 응급처치에 사용한 의료용 소모품이나 비품은 귀환 즉시 보충한다.
- 구급차의 무선장비를 매일 점검하여 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유지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408만원 |
4144만원 |
5180 만원 |
직업만족도
- 응급구조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7.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응급구조사의 고용은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응급구조사 면허를 취득하기 위하여 응시하는 사람과 합격자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1급 응급구조사 합격자는 2009년 667명에서 2014년 1,207명으로 5년간 81.0% 증가하였고 2급 응급구조사 합격자는 2009년 732명에서 2014년 1,598명으로 5년간 118.3% 증가하였다.
- 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합격자 통계에 의하면 2013년~2015년까지 최근 3년간 연 평균 약 1,228명의 1급 응급구조사가 그리고 약 1,404명의 2급 응급구조사가 배출되었다.
- 선박 및 지하철 사고, 각종 생산 및 건설 현상의 안전사고와 산업재해, 교통사고의 발생건수가 증가하며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 주 5일 근무제로 인해 여가 및 스포츠 활동 등 외부 활동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사건·사고의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고 재난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일상생활 속의 위험요소가 증가하여 소방안전 및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가 높아졌다.
- 인구가 고령화됨에 따라 독거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핵가족화 등 1인 가구가 증가하여 가정 내 응급의료 상황 발생 시 대처 인력이 부족하여 사회 안전망 구축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응급구조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안전에 대한 사회적 요구 수준이 높아지고 있어 과거 병원이나 소방서로 한정되었던 응급구조사의 범위가 학교, 보건소, 민간기업, 항공사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 2016년 기준으로 응급구조사는 1급과 2급을 합하여 2,600명 이상의 인력이 1년에 배출되는데, 고용안정과 근무여건이 상대적으로 좋은 구급대원(공무원)이나 병원, 대기업 등으로의 입직을 원하는 사람이 많아 일자리 경쟁이 치열하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7%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