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원 및 수송원

요약
하는일철도신호원은 기지내의 이동차량에 대하여 신호기와 전철기(전기선로전환기)를 조작하여 차량의 위치를 조정한다. 철도수송원은 객차 및 화차를 연결 및 분리하여 정해진 차량 수에 맞추어 한 개의 열차로 만든다. 열차신호원은 역내의 이동 열차의 교통을 통제하기 위하여 신호기 및 전철기를 조작한다. 철도수송원은 철도객차 및 화차의 조성, 연결, 해방, 운전취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되는길신호원 및 수송원이 되려면 직업전문학교 및 사설학원에서 변전설비, 원자력 전기설비, 철도 기기 등 전기관련 훈련과정을 이수하거나 숙력 전공을 보조하면서 기능을 습득할 수 있다.
대학 및 전문대학의 전기제어공학, 전기전자공학, 전자공학, 철도전기제어과 등 관련학과를 나오면 유리할 수 있으며, 자격증으로는 철도신호산업기사, 철도신호기능사 등이 있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800만원, 평균(50%) 4300만원, 상위(25%) 5000만원
만족도67
일자리전망증가(8%) 현상유지(22%) 감소(69%)
업무수행능력시력(92)/반응시간과 속도(91)/움직임 통제(87)/작동 점검(85)/조작 및 통제(85)
지식운송(100)/안전과 보안(99)/통신(91)/기계(90)/지리(88)
업무환경위험한 상태 노출(98)/소음 노출(97)/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4)/균형을 유지하기(93)/사람들과 직접 접촉(93)
성격자기통제(91)/협조(90)/신뢰성(89)/정직성(88)/꼼꼼함(79)
흥미관습형(Conventional)(82)/현실형(Realistic)(69)
직업가치관심신의 안녕(71)/고용안정(64)/경제적 보상(60)/이타(56)/인정(42)
업무활동 중요도기계장치 제어(89)/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2)/차량, 기계, 장비 작동(79)/물건 조종, 운반(77)/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76)
업무활동 수준기계장치 제어(90)/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7)/물건 조종, 운반(87)/팀 구성, 협업 촉진(87)/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5)
관련직업항공기조종사
헬리콥터조종사
선장 및 항해사
선박기관사
철도·전동차기관사
항공교통관제사
선박교통관제사
철도교통관제사
직무개요
  • 철도신호원은 기지내의 이동차량에 대하여 신호기와 전철기(전기선로전환기)를 조작하여 차량의 위치를 조정한다. 철도수송원은 객차 및 화차를 연결 및 분리하여 정해진 차량 수에 맞추어 한 개의 열차로 만든다. 열차신호원은 역내의 이동 열차의 교통을 통제하기 위하여 신호기 및 전철기를 조작한다. 철도수송원은 철도객차 및 화차의 조성, 연결, 해방, 운전취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수행직무
  • 열차 운전원과 연락하여 열차의 운행계획이나 시간표 등을 확인한다.
  • 차량편성표에 따라 충돌, 사고방지를 판단하여 차량을 목적 위치에 유치하도록 선로를 변경한다.
  • 열차운행 전광판의 신호(LED) 및 신호기의 색상을 보고 열차의 위치를 확인하여 신호조작패널을 조작하여 선로를 변경한다. [철도수송원]
  • 입환기를 움직여 객차 및 화차를 연결 또는 분리하고 정해진 객차(화차)량수에 발전차, 기관차 등을 연결 조합하여 한개의 열차를 편성한다.
  • 도착열차, 도중운행열차 등에 불량차가 발생하였을 때 분리하여 불량차를 해방하고 양차를 붙이기도 한다.
  • 운전원이 없는 경우 운전취급담당자로 지정받아 신호조작, 열차감시,폐색기취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전철기(전기선로전환기)를 청소한다.
  • 비상사태 발생시 소속장지시에 따라 업무를 처리한다.
  • 역구내 착발 열차의 조사·조성, 차량수배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입환지시서를 발행하고 입환에 관하여 기관사와 협의한다.
  • 제설, 제초, 환경미화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열차신호원]
  • 역내의 신호소에서 역내를 통과하는 열차의 충돌 및 사고 방지를 위하여 열차운행관리원과 연락하여 지정선을 관리하고 열차운행상황을 통보한다.
  • 들어오는 차량을 지정된 선로로 이동시키기 위해 선로를 변경한다.
  • 열차 이동상황이 나타나는 전광판의 신호를 보면서 열차의 위치를 확인하여 신호조작판을 조작한다.
  • 인접역과 연락하여 열차의 도착 및 출발상황을 통보한다. [열차수송원]
  • 기관차가 이끌 수 있는 견인력 및 기차가 통과하는 역의 철로 길이를 파악한다.
  • 입환기를 조작하여 객차 및 화차를 연결한 후 한 개의 열차로 만든다.
  • 도착열차 및 운행열차 등에 문제 발생시 문제가 발생한 객차 및 화차를 분리한다.
  • 선로전환기를 조작하여 지정된 철로에서 기관차를 분리 및 연결한 후, 확인한다.
  • 입환지시서를 발행하고 입환에 관하여 기관사와 협의한다.
  • 수송작업장 및 관련 장비나 도구를 관리하고 필요시 보수하기도 한다.
  • 제설·제초작업을 하기도 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3800만원

4300만원

5000 만원

직업만족도
  • 신호원 및 수송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7%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신호원 및 수송원의 고용은 감소할 전망이다.
  • 원활한 철도교통을 도모하기 위하여 철도기관차에 수신호나 깃발신호로 속도나 정지 여부 등을 조정하는 신호원 및 수송원의 고용은 감소할 것이다.
  • 신호원 및 수송원이 주로 근무하는 철도공사가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 인원을 지속적으로 감축하고 있다.
  • 또한 저비용 항공노선이 많이 생기면서 KTX 이외의 다른 철도들의 운항편수가 감소하고 있다.
  • 가장 부정적 영향은 신호원과 수송원이 하는 역할이 점차 자동화(컴퓨터화) 되면서 필요 인력이 감소하고 있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8%
    유지 22%
    다소 감소 58%
    감소 11%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