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기관사

요약
하는일선박의 엔진, 보일러, 갑판의 기계장치 및 전기장치 등을 조작·정비한다.
되는길선박기관사가 되기 위해서는 국토해양부가 지정한 교육기관인 관련 고등학교 및 대학교를 졸업하면 유리하다.
상선 해기사를 양성하는 기관은 한국해양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부산해사고등학교, 인천해사고등학교이며, 어선 해기사를 양성하는 기관은 수산관련 대학교(부경대, 제주대 등 6개교) 및 해양관련 고등학교(인천해양과학고, 울릉종합고 등 7개교)가 있다.
해양대학이나 수산관련 대학의 관련 학과를 졸업하면 각각 상선 혹은 어선 분야 기관사 3급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또한, 해사고등학교나 해양관련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각각 상선 혹은 어선 분야의 기관사 4급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기관사로 활동하고 있는 사람은 면허를 유지하기 위하여 안전교육 및 직무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전공해양공학과
자격해기사(국가전문)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631만원, 평균(50%) 5200만원, 상위(25%) 5851만원
만족도65.9
일자리전망증가(13%) 현상유지(63%) 감소(23%)
업무수행능력고장의 발견.수리(98)/장비의 유지(98)/조작 및 통제(97)/움직임 통제(97)/작동 점검(97)
지식운송(100)/기계(99)/지리(97)/물리(90)/컴퓨터와 전자공학(80)
업무환경비좁은 업무 공간(100)/움직이는 기계(100)/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100)/온몸 진동 노출(100)/위험한 장비 노출(98)
성격분석적 사고(61)/리더십(57)/혁신(56)/적응성/융통성(47)/신뢰성(45)
흥미현실형(Realistic)(84)/관습형(Conventional)(49)
직업가치관다양성(82)/애국(67)/자율(47)/이타(31)/개인지향(28)
업무활동 중요도전자장비 유지 보수(100)/기계장비 유지 보수(100)/차량, 기계, 장비 작동(100)/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9)/기계장치 제어(99)
업무활동 수준전자장비 유지 보수(100)/차량, 기계, 장비 작동(100)/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9)/기계장비 유지 보수(99)/기계장치 제어(98)
관련직업항공기조종사
헬리콥터조종사
선장 및 항해사
철도·전동차기관사
항공교통관제사
선박교통관제사
철도교통관제사
신호원 및 수송원
직무개요
  • 선박의 엔진, 보일러, 갑판의 기계장치 및 전기장치 등을 조작·정비한다.

수행직무
  • 시동전 각종 계기류의 작동상황에 따라 회전속도의 변동, 이상진동, 이상음의 발생, 온도, 배기색의 변동, 윤활유의 소비량 등을 점검한다.
  • 선박기관장의 지시에 따라 선박을 가동하기 위하여 시동을 걸고 엔진상태를 조절한다.
  • 기간의 주유상태, 보일러의 수압·증기압 등의 상태를 확인한다.
  • 선박의 기계설비를 검사하고 결함이 있는 부품을 교체한다.
  • 기계의 청소, 급유, 검사 또는 수리작업시 기계의 운전을 정지하거나 동력원에서 작동부분을 차단한다.
  • 항해중에 소모되는 연료의 양을 기록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4631만원

5200만원

5851 만원

직업만족도
  • 선박기관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5.9%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선박기관사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
  • 해양수산부의 자료에 따르면 선원수첩소지자와 해기면허소지자는 증가하고 있으나, 취업선박과 취업선원은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다.
  • 취업선원은 3만9천명 수준에서 큰 폭의 변화를 보이지 않고 5년간 유지되고 있으며 취업선박은 5천척 수준에서 미미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 취업선원 수는 답보하고 있는데 비해 면허 소지자는 다소 증가하여 동 자료에서 취업률은 2012년 기준 46.6%로 자격자의 절반 수준이 일자리를 얻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비해 면허 소지자는 증가하고 있어 시장 내에 일자리를 얻지 못하는 자격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의 선박은 2008년 6,467척에서 2012년 6,743척으로 증가하였는데, 원양어선과 해외취업선을 제외한 선박에서 증가를 보였다.
  • 외항선과 내항선 등 상선은 증가하여 여객이나 화물 등의 수송이 증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 원양어선의 경우 과거에는 우리나라의 주요 외화 획득원으로 큰 역할을 하였으나, 미국과 유럽연합 등에 의한 어업통제 강화, 불법어업 미조치국에 대한 국내법 개정 요구 등 대외적 여건이 악화되고 있다.
  • 또한 원양어선의 노후화가 진행(92.4%)되었으며, 어선원의 고령화가 심화되어 어선원 중 40세 이상의 비율이 60% 이상으로 향후에도 어선쪽의 인력수요는 현행 수준을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13%
    유지 63%
    다소 감소 23%
    감소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