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운서
요약
하는일 | 아나운서는 시청자들이나 청취자들에게 라디오와 텔레비전방송을 통하여 뉴스, 공보, 기타 고지사항을 발표하고,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
---|---|
되는길 | 아나운서가 되기 위해 전공 제한은 없으며, 종합편성채널 방송사들이 생겨나며 대졸자로 응시자격을 제한하던 것들이 일부 폐지되고 있다. 다만, 대학에서 국어국문학과, 언론정보학과, 신문방송학과 등을 전공하면 지식적인 측면에서 기본기를 쌓을 수 있어 방송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양성 교육기관으로 각 방송사에서 운영하는 방송아카데미와 전문 사설 교육기관 등이 있다. 관련 교육기관에서는 표준어 구사, 발성, 호흡 등 방송내용 전달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갖추도록 교육하며, 뉴스, 쇼 프로그램 진행 등의 다양한 실습도 이루어진다. 주로 지상파방송사, 종합유선방송사, 종합편성채널, 기업의 사내 방송국 등에서 활동한다. 아나운서는 대부분 공개채용을 통해 입직한다. 보통 지상파방송사는 연 1회의 공개채용을 하고 ‘서류전형-필기시험(교양, 논술 등)-카메라 및 음성테스트-면접’ 등의 단계를 거쳐 선발한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능력시험 성적과 토익, 토플, 텝스 등의 공인영어시험성적을 요구하기도 한다. 처음 입직하면 방송 순서를 알리는 등 가벼운 업무를 주로 하며 현장경험을 익히고, 경력을 쌓아 점차 비중 있는 프로그램을 담당하게 된다. 능력과 인지도를 겸비한 아나운서의 경우 프리랜서로 독립하여 다양한 영역의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등 자신의 활동영역을 넓히는 경우가 많다. |
전공 | 국어·국문학과 국제지역학과 기타 아시아어·문학과 기타 유럽어·문학과 러시아어·문학과 문예창작과 방송·연예과 스페인어·문학과 신문방송학과 언어학과 연극·영화학과 영미어·문학과 일본어·문학과 정보미디어학과 중국어·문학과 프랑스어·문학과 |
자격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000만원, 평균(50%) 4765.6만원, 상위(25%) 5547만원 |
만족도 | 79.8 |
일자리전망 | 증가(17%) 현상유지(63%) 감소(20%) |
업무수행능력 | 말하기(97)/청력(88)/기억력(82)/읽고 이해하기(79)/듣고 이해하기(78) |
지식 | 국어(100)/의사소통과 미디어(100)/철학과 신학(99)/역사(98)/사회와 인류(96) |
업무환경 | 치열한 경쟁(96)/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95)/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3)/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강도(91)/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영향력(91) |
성격 | 스트레스 감내성(83)/적응성/융통성(75)/사회성(74)/자기통제(68)/분석적 사고(67) |
흥미 | 진취형(Enterprising)(89)/예술형(Artistic)(84) |
직업가치관 | 다양성(95)/신체활동(76)/경제적 보상(66)/고용안정(52)/성취(50) |
업무활동 중요도 |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1)/조직 외부인과 소통(90)/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90)/대인관계 유지(88)/상사, 동료, 부하직원과 소통(88) |
업무활동 수준 | 조직 외부인과 소통(91)/업무 계획, 우선순위 결정(90)/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88)/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87)/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85) |
관련직업 | 방송연출가 영화감독 연극연출가 광고영상감독 연극영화방송기술감독 영화배우 및 탤런트 모델 연극 및 뮤지컬배우 개그맨 및 코미디언 성우 리포터 촬영기사 음향·녹음기사 영상·녹화 및 편집기사 조명기사 |
직무개요
- 아나운서는 시청자들이나 청취자들에게 라디오와 텔레비전방송을 통하여 뉴스, 공보, 기타 고지사항을 발표하고,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수행직무
- 국내·외에서 발생된 모든 사건을 진행순서에 따라 보도하고 취재기자를 연결하여 현장의 상황을 시청자 및 청취자에게 전달한다.
- 시사프로그램 및 토론프로그램을 진행한다.
- 사건·사고에 관련된 사람을 취재하여 원인, 진행과정, 결과 등을 보도한다.
- 쇼프로그램을 진행하거나 의식 또는 행사를 중계방송하기도 한다.
- 운동경기가 열리는 현장에서 생방송 또는 녹화방송으로 중계하기도 한다.
- 시청자들이나 청취자들에게 라디오와 텔레비전방송을 통하여 뉴스, 공보, 기타 고지사항을 발표하고,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 사내, 경기장, 놀이시설, 전망대 등에서 방송장비를 사용하여 방송을 진행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아나운서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9.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아나운서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방송통신위원회의 「2015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전체 아나운서 수는 755명으로, 2010년 727명과 비교해서는 증가했으나, 2011년 782명, 2012년 784명, 2013년 750명, 2014년 755명으로 급격한 변동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다만, 방송채널사용사업 부문의 경우 2003년 77명에서 점차 증가해 2012년 222명으로 가장 많았고, 2014년 12월에는 212명으로 지상파방송사보다 아나운서 채용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종합편성채널 및 뉴스전문채널이 지상파방송사 못지않은 시청률을 올리며 성장한데 기인하며, 앞으로도 아나운서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하지만 전체 종사자 수 자체가 많지 않고, 5년 이상 700명대를 유지하는 점은 방송환경의 특별한 변화가 없는 한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 한편, 아나운서의 전문영역이라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진행으로 연기자나 개그맨들이 많이 진출하고 있고, PD나 기자, 그 외 각 분야 전문가 등이 방송을 직접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증가하는 점은 아나운서의 활동무대를 축소시키고 있다.
- 따라서 전형적인 아나운서의 이미지를 갖춘 아나운서보다는 엔터테이너로서의 자질이 더욱 요구되고, 이런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에서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